한줄시황

Home/한줄시황

[2025-11-21] 금리 인하 기대 재점화, 주요 지수 반등

야간선물: 548.80 (+7.50, +1.39%)

다우: 46245.20 (+493.15, 1.08%)
나스닥: 22273.10 (+195.03, 0.88%)
S&P500: 6602.98 (+64.23, 0.98%)
미국채 10년물 금리: 4.07%

【상승·하락 종목수】
뉴욕증권거래소: ↑ 2228, ↓ 533
나스닥: ↑ 3451, ↓ 1286

【연간 상승률】
다우: +8.7%
나스닥: +15.3%
S&P500: +12.3%
러셀2000: +6.3%

1. 뉴욕 연은 총재 윌리엄스의 완화적 발언으로 12월 금리 인하 기대 급등 (확률 75%까지)
2. 플랫폼/콘텐츠 대형주 +2.2%로 선두, Alphabet 사상 최고가 경신
3. IT 섹터는 장중 변동성 속 소폭 상승(+0.1%), NVIDIA·AMD는 약세 지속
4. 반도체 지수는 +0.9%로 마감
5. Oracle -5.8%로 대형 기술주 중 최대 낙폭 기록
6. 동등가중 S&P 500 +1.9%로 대형주 대비 초과 성과, 메가캡 집중 리스크 완화 신호
7. 금리 인하 기대와 저가 매수세 결합, 변동성 속 투자심리 회복

[2025-11-20] NVIDIA 실적 호조에도 AI 모멘텀 둔화, 기술주 중심 반락으로 지수 재차 이탈

야간선물: 545.25 (-20.75, -3.67%)

다우: 45752.05 (-386.51, -0.84%)
나스닥: 22078.07 (-486.18, -2.15%)
S&P500: 6538.75 (-103.40, -1.56%)
미국채 10년물 금리: 4.09%

【상승·하락 종목수】
뉴욕증권거래소: ↑ 621, ↓ 2157
나스닥: ↑ 1144, ↓ 3557

【연간 상승률】
다우: +7.5%
나스닥: +14.3%
S&P500: +11.2%
러셀2000: +3.4%

1. NVIDIA는 실적·가이던스 모두 시장 기대 상회, 개장 직후 반도체 섹터 강세
2. 반도체·메가캡 중심 장 초반 랠리, 전 섹터 상승하며 50일선 회복
3. 오전 11시 이후 급격한 반락, 이익 실현 매물과 AI 피로감이 전면화
4. 마이크론·AMD·오라클·팔란티어 등 낙폭 확대, 반도체 지수는 4.8% 급락
5. 기술주 섹터는 장중 상승폭 전부 반납하며 -2.7%로 마감
6. 월마트 실적 호조로 소비재 섹터만 상승
7. 9월 고용보고서는 혼조, 신규 고용 증가에도 실업률 4.4%로 상승
8. 12월 FOMC 전 마지막 고용지표로 해석되며, 금리 인하 기대는 39.6%로 소폭 회복
9. Russell 2000·Mid Cap 400도 동반 약세, 전반적 리스크 회피 강화
10. NVIDIA 실적에도 AI 테마는 반등 지속 실패, 기술적 지지선 재차 이탈하며 심리 악화

[2025-11-19] AI·반도체 기대감에 기술주 반등, 지표 공백 속 금리 인하 기대 후퇴

야간선물: 556.75 (+3.30, +0.60%)

다우: 46138.56 (+47.03, 0.10%)
나스닥: 22564.25 (+131.38, 0.59%)
S&P500: 6642.15 (+24.84, 0.38%)
미국채 10년물 금리: 4.13%

【상승·하락 종목수】
뉴욕증권거래소: ↑ 1045, ↓ 1706
나스닥: ↑ 1741, ↓ 2677

【연간 상승률】
다우: +8.5%
나스닥: +16.9%
S&P500: +12.9%
러셀2000: +5.3%

1. NVIDIA 실적 발표 앞두고 반도체 섹터 반등, Broadcom 강세 주도
2. Alphabet은 버크셔 투자 이후 사상 최고가 경신
3. 노동통계국, 10월 고용보고서와 9월 JOLTS 발표 취소, 고용시장 불확실성 확대
4. FOMC 의사록은 방향성 모호, 금리 인하 기대는 33.5%로 추가 하락
5. 장중 두 차례 하락 전환 있었으나, 기술주 중심 반발 매수로 마감 반등
6. 시장은 NVIDIA 실적과 가이던스를 앞두고 방향성 탐색 중
7. 금리 인하 기대는 후퇴했지만, AI·반도체 중심 심리 회복으로 반등
8. 주요 지수는 4일 연속 하락세를 끊고 상승 마감

[2025-11-18] AI·대형 기술주 피로감 지속, 실적·밸류에이션 부담에 가치주로 순환 강화

야간선물: 559.10 (+2.55, +0.46%)

다우: 46091.53 (-498.50, -1.07%)
나스닥: 22432.87 (-275.23, -1.21%)
S&P500: 6617.31 (-55.09, -0.83%)
미국채 10년물 금리: 4.13%

【상승·하락 종목수】
뉴욕증권거래소: ↑ 1465, ↓ 1263
나스닥: ↑ 2340, ↓ 2328

【연간 상승률】
다우: +8.3%
나스닥: +16.2%
S&P500: +12.5%
러셀2000: +5.3%

1. Microsoft·Amazon 동시 투자의견 하향, 대형 기술주 전반에 매도 압력
2. 반도체 섹터는 NVIDIA의 실적 발표를 앞두고 수급 위축, 낙폭 누적
3. Home Depot 실적 부진이 소비재 섹터 전반에 부담 전이
4. AI 테마는 모멘텀 둔화 지속, 전략적 제휴·수출 기대도 매수세 유입 못 이끌어
5. 헬스케어 섹터는 실적·배당 모멘텀에 방어적 매수세 유입
6. 에너지 섹터는 유가 반등에 힘입어 상대적 강세 지속
7. 통신 섹터는 개별 호재(GOOG – 버크셔 해서웨이의 신규 투자, NFLX – 10대1 액면분할)로 소폭 상승 마감
8.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 예상보다 높은 수치를 기록하며 12월 금리 인하 기대 소폭 회복

[2025-11-17] 기술주 중심 모멘텀 이탈, 50일 이평선 하회로 시장 불안 확대

야간선물: 568.60 (-6.95, -1.21%)

다우: 46590.03 (-557.24, -1.18%)
나스닥: 22708.10 (-192.51, -0.84%)
S&P500: 6672.40 (-61.70, -0.92%)
미국채 10년물 금리: 4.14%

【상승·하락 종목수】
뉴욕증권거래소: ↑ 484, ↓ 2303
나스닥: ↑ 1191, ↓ 3521

【연간 상승률】
다우: +9.5%
나스닥: +17.6%
S&P500: +13.4%
러셀2000: +5.0%

1. 주요 지수 모두 50일 이동평균선 하회, 4월 이후 처음으로 기술적 지지선 붕괴
2. AI 관련 투자심리 약화, 특정 헤지펀드의 NVIDIA 지분 전량 매도 소식이 반도체 섹터 압박
3. IT 섹터는 Apple CEO 교체설·투자의견 하향 등 개별 악재로 낙폭 확대
4. 금융주는 소비자 신용지표 악화로 전면 약세, 카드사 중심 리스크 우려 확대
5. 암호화폐 약세 지속, Coinbase는 연초 상승분 전부 반납
6. 통신 섹터는 Berkshire의 Alphabet 신규 투자로 상대적 강세
7. 방어적 섹터인 유틸리티는 자금 유입으로 상승 마감
8. 중소형주 낙폭 확대, 시장 전반 리스크 회피 성향 강화
9. VIX 14% 급등, 정책 불확실성과 기술적 이탈이 심리 불안 자극
10. 연준 인사 발언은 혼조, 금리 인하 기대는 소폭 회복되었으나 방향성은 불투명
11. NVIDIA 실적·고용지표·FOMC 의사록 발표 앞두고 시장은 방향성 탐색 중

[2025-11-14] 기술주 저점 매수세에 지수 반등

야간선물: 571.05 (+8.00, +1.42%)

다우: 47147.27 (-309.74, -0.65%)
나스닥: 22900.61 (+30.23, 0.13%)
S&P500: 6734.10 (-3.38, -0.05%)
미국채 10년물 금리: 4.15%

【상승·하락 종목수】
뉴욕증권거래소: ↑ 1184, ↓ 1545
나스닥: ↑ 1928, ↓ 2702

【연간 상승률】
다우: +10.8%
나스닥: +18.6%
S&P500: +14.5%
러셀2000: +7.1%

1. 연준 위원 발언으로 금리 인하 기대 약화, 12월 인하 가능성은 45.9%로 하락
2. 개장 직후 주요 지수 50일선 하회, 기술주 중심 반발 매수로 지지선 회복
3. 반도체 섹터가 장중 반등 주도, Micron·NVIDIA 등 실적 기대감 유입
4. 메가캡 종목은 혼조세, 개장 약세 후 일부 회복, ETF는 소폭 상승
5. 에너지 섹터는 유가 반등에 힘입어 상승
6. 금융·소재 섹터는 약세 지속, 대형은행 중심 매도세 확대
7. 시장폭은 제한적, 상승 섹터 3개에 그쳐, 중소형주도 혼조
8. 기술적 지지선 회복과 성장주 매수세가 심리 안정에 기여
9. NVIDIA 실적 발표 앞두고 반도체 섹터에 기대감 선반영
10. 전반적 흐름은 약세 속 반등 시도, 지수는 주간 기준 상승 유지

[2025-11-13] 금리 인하 기대 약화에 전면 조정, 성장주 중심 리스크 회피 확대

야간선물: 577.95 (-12.80, -2.17%)

다우: 47457.01 (-797.60, -1.65%)
나스닥: 22870.38 (-536.10, -2.29%)
S&P500: 6737.48 (-113.43, -1.66%)
미국채 10년물 금리: 4.13%

【상승·하락 종목수】
뉴욕증권거래소: ↑ 599, ↓ 2168
나스닥: ↑ 951, ↓ 3758

【연간 상승률】
다우: +11.6%
나스닥: +18.4%
S&P500: +14.6%
러셀2000: +6.7%

1. 연준 위원 발언이 매파적 기조 강화, 12월 금리 인하 기대치 급락
2. 셧다운 종료에도 주요 경제지표 발표 지연, 정책 불확실성 지속
3. 성장주 중심 차익실현 확대, 기술·소비재·통신 섹터 전면 약세
4. 반도체 섹터는 낙폭 확대, AI 기대에도 수급 부담 지속
5. 디즈니 실적 실망으로 커뮤니케이션 섹터 추가 압력
6. 시장폭 악화, 하락 종목이 상승 종목의 4배 이상
7. 중소형주·동등가중지수도 동반 하락, 리스크 회피 전면화
8. 에너지·헬스케어·필수소비재는 방어적 성격으로 낙폭 제한
9. VIX 18% 급등, 시장 변동성 확대와 심리 불안 반영
10. 밸류에이션 부담과 정책 불확실성이 맞물리며 단기 조정 심화

[2025-11-12] 기술주 조정 속 가치주로 자금 이동, 다우지수 사상 최고치 경신

야간선물: 588.30 (+0.60, +0.10%)

다우: 48254.61 (+326.86, 0.68%)
나스닥: 23406.48 (-61.84, -0.26%)
S&P500: 6850.91 (+4.31, 0.06%)
미국채 10년물 금리: 4.08%

【상승·하락 종목수】
뉴욕증권거래소: ↑ 1369, ↓ 1365
나스닥: ↑ 2182, ↓ 2437

【연간 상승률】
다우: +13.4%
나스닥: +21.2%
S&P500: +16.5%
러셀2000: +9.9%

1. 기술주 모멘텀 약화, 성장주 차익실현 지속
2. AMD의 장기 성장 전망이 반도체 섹터 반등 견인
3. AI 인프라 투자 확대에도 대형 기술주의 반응은 제한적
4. 헬스케어 섹터는 정책 수혜와 실적 기대감으로 강세 지속
5. 금융주는 정책 기대와 CEO 회동 기대감에 투자심리 개선
6. 유가 급락으로 에너지 섹터 약세, OPEC 수급 전망 변화 영향
7. 항공주 반등, 셧다운 해제 기대에 따른 수요 정상화 기대
8. 정부 셧다운 해제 법안 하원 표결 예정, 정책 불확실성 완화 기대
9. 연준 인사 발언은 시장에 중립적, 금리 인하 기대는 유지
10. 시장은 성장주 중심에서 저평가·방어주 중심으로 재편 중

[2025-11-11] 반도체 및 AI 차익실현에도 시장 견조

야간선물: 581.35 (-0.35, -0.06%)

다우: 47927.75 (+559.33, 1.18%)
나스닥: 23468.32 (-58.87, -0.25%)
S&P500: 6846.60 (+14.18, 0.21%)
미국채 10년물 금리: 4.12%

【상승·하락 종목수】
뉴욕증권거래소: ↑ 1772, ↓ 961
나스닥: ↑ 2549, ↓ 2055

【연간 상승률】
다우: +12.7%
나스닥: +21.5%
S&P500: +16.4%
러셀2000: +10.2%

1. Softbank의 NVDA 전량 매도 소식이 반도체 차익실현 촉발
2. AI·반도체 주도 약화, 시장은 폭넓은 참여로 하단 지지
3. 헬스케어 섹터는 FDA 정책 변화에 따라 강세 지속
4. 정부 셧다운 해제 법안 상원 통과, 수요 정상화는 지연 전망
5. 유가 상승에 따라 에너지·소재·필수소비재 섹터 동반 강세
6. 항공주 약세로 산업재 섹터는 보합, 여행 수요 회복 지연 우려
7. 기술주 중심 고베타 종목은 조정, 시장은 저변 확장으로 균형 유지

[2025-11-10] AI·반도체 중심 기술주 반등, 셧다운 해제 기대 속 저점 매수 유입

야간선물: 582.30 (+5.40, +0.94%)

다우: 46986.89 (+74.80, 0.16%)
나스닥: 23004.55 (-49.46, -0.21%)
S&P500: 6728.79 (+8.48, 0.13%)
미국채 10년물 금리: 4.12%

【상승·하락 종목수】
뉴욕증권거래소: ↑ 1880, ↓ 893
나스닥: ↑ 3125, ↓ 1546

【연간 상승률】
다우: +11.3%
나스닥: +21.8%
S&P500: +16.2%
러셀2000: +10.1%

1. 셧다운 해제 기대가 정책 불확실성 완화로 투자심리 개선
2. 기술주 낙폭 과대 인식에 따른 저점 매수세 집중
3. 대형주 리더십 복원, AI 칩 상용화 기대가 모멘텀 강화
4. 위험선호 회복으로 고베타·중소형주도 동반 반등
5. 성장주 중심 순환매 강화, 방어주 섹터는 상대적 약세

Go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