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줄시황

Home/한줄시황

[2025-08-08] 나스닥 사상 최고치 경신, S&P500도 근접

야간선물: 436.50 (+2.65, +0.61%)

다우: 44175.61 (+206.97, 0.47%)
나스닥: 21448.63 (+207.32, 0.98%)
S&P500: 6389.45 (+49.45, 0.78%)
미국채 10년물 금리: 4.29%

[상승·하락 종목수] 뉴욕증권거래소: ↑ 1486, ↓ 1226
나스닥: ↑ 2353, ↓ 2125

[주간 상승률] 다우: +1.4%
나스닥: +3.9%
S&P500: +2.4%
S&P 중소형 400: +0.6%
러셀2000: +2.4%

1. 기술주 중심 나스닥, 사상 최고치 마감 및 주간 연속 상승
2. S&P500, 기록적 고점에 0.2p 차이로 마감하며 0.8% 상승
3. 애플·알파벳·테슬라 등 메가캡 주도하에 대형주 중심 랠리
4. 매수세 유입 속 “저가 매수” 심리 강화, 실적발표는 중소형주 위주
5. 대부분 업종 상승, 리츠·유틸리티 등 일부 업종만 약세
6. 미·러 간 우크라이나 전쟁 관련 협상 가능성과 미·러 정상회담 추진 소식
7. 금값 1%대 급등, 일부 무역·관세 불확실성에 안전자산 선호 강화
8. 중소형주·동일가중 지수는 상대적 부진, 대형주 쏠림 현상 심화

[2025-08-07] 미국내 생산 투자 조건 반도체 100% 관세 예외, 혼조 마감

야간선물: 434.35 (-0.45, -0.10%)

다우: 43968.64 (-224.48, -0.51%)
나스닥: 21241.31 (+73.27, 0.35%)
S&P500: 6340.00 (-5.06, -0.08%)
미국채 10년물 금리: 4.25%

[상승·하락 종목수] 뉴욕증권거래소: ↑ 1293, ↓ 1421
나스닥: ↑ 1949, ↓ 2582

[주간 상승률] 다우: +0.9%
나스닥: +2.9%
S&P500: +1.6%
S&P 중소형 400: +0.6%
러셀2000: +2.2%

1. 반도체 관세 예외 조치에 기술주 강세 출발
2. 장중 매도세 확산, 시장은 혼조로 마감
3. 반도체·첨단주 급등 후 차익 실현, 업종별 변동성 확대
4. 고용지표 부진
5. 방어주 상대적 강세, 헬스케어·금융주 하락
6. WTI 유가 6월 이후 최저
7. 트럼프, 연준 이사회 인선 공식 발표 및 의장 후보 지명설 부상
8. 대외 불확실성 지속

[2025-08-06] 대형주 상승 주도, 애플 1,000억 달러 미국 투자로 시장 분위기 반전

야간선물: 432.75 (+1.45, +0.34%)

다우: 44193.12 (+81.38, 0.18%)
나스닥: 21168.04 (+252.87, 1.21%)
S&P500: 6345.06 (+45.87, 0.73%)
미국채 10년물 금리: 4.23%

[상승·하락 종목수] 뉴욕증권거래소: ↑ 1304, ↓ 1412
나스닥: ↑ 2146, ↓ 2336

[주간 상승률] 다우: +1.4%
나스닥: +2.5%
S&P500: +1.7%
S&P 중소형 400: +0.9%
러셀2000: +2.5%

1. 애플 등 메가캡 기업 실적 호조, 대형주 중심 지수 강세
2. 애플, 미국 제조업에 추가 1,000억 달러 투자 발표
3. 미국-인도 무역 마찰 속 애플 영향 제한
4. 기타 블루칩·기술주 실적 엇갈려 개별 종목 변동성 확대
5. 지수 강세 불구, 매크로 이슈 부재로 향후 방향성 불투명
6. 에너지·필수소비재 등 일부 업종 약세, 대형주 쏠림 현상 심화
7. 미국 국채 10년물 입찰 부진, 장단기 금리 혼조세

[2025-08-05] 증시 혼조 속 소형주 강세, 금리 인하 기대감과 경기 우려 교차

야간선물: 429.95 (-1.80, -0.42%)

다우: 44111.74 (-61.90, -0.14%)
나스닥: 20915.17 (-137.03, -0.65%)
S&P500: 6299.19 (-30.75, -0.49%)
미국채 10년물 금리: 4.22%

뉴욕증권거래소: ↑ 1538, ↓ 1170
나스닥: ↑ 2174, ↓ 2303

다우 YTD: +3.7%
나스닥 YTD: +8.3%
S&P500 YTD: +7.1%
S&P 중소형 400 YTD: +0.7%
러셀2000 YTD: -0.2%

1. 7월 ISM 서비스 PMI, 경기 위축 경계선 근접
2. 주요 지수, 장 초반 상승분 반납하며 약세 전환
3. 9월 25bp 금리 인하 기대감 확대 및 연준 인사 변화 가능성
4. 트럼프, 반도체·제약 관세 별도 계획 발표 예고
5. 팔란티어 실적 호조에도 반도체 업종 부진 지속

[2025-08-04] 대형 기술주 주도 반등에 강세

야간선물: 428.70 (+3.20, +0.75%)

다우: 44173.64 (+585.06, 1.34%)
나스닥: 21052.20 (+403.45, 1.95%)
S&P500: 6329.94 (+91.93, 1.47%)
미국채 10년물 금리: 4.20%

뉴욕증권거래소: ↑ 2245, ↓ 500
나스닥: ↑ 3447, ↓ 1095

다우 YTD: +3.8%
나스닥 YTD: +9.0%
S&P500 YTD: +7.6%
S&P 중소형 400 YTD: +0.7%
러셀2000 YTD: -0.8%

1. 대형 기술주 강세
2. 저가 매수 심리 확산, 장 초반부터 매수세 압도
3. 10개 S&P500 업종 상승, 통신·IT·헬스케어 강한 탄력
4. 테슬라 호재·아마존 약세, 소비재 업종 희비 엇갈려
5. 중소형주 러셀2000 강세, 시장 전반 매수심리 확산
6. 유가는 OPEC+ 증산 합의에 하락, 에너지주만 하락세
7. 기업 실적발표 랠리
8. 9월 기준금리 인하 기대 85.5%, 국채 금리도 하락세
9. 이번 주 핵심 이슈 — 무역협상·실적발표 등 재료 주목

[2025-08-01] 대규모 관세 인상·빅테크 실적 부진에 하락 마감

야간선물: 419.40 (-1.00, -0.24%)

다우: 43588.58 (-542.40, -1.23%)
나스닥: 20648.75 (-472.32, -2.24%)
S&P500: 6238.01 (-101.38, -1.60%)
미국채 10년물 금리: 4.22%

뉴욕증권거래소: ↑ 836, ↓ 1913
나스닥: ↑ 1189, ↓ 3329

다우 YTD: +2.5%
나스닥 YTD: +6.9%
S&P500 YTD: +6.0%
S&P 중소형 400 YTD: -0.5%
러셀2000 YTD: -2.8%

1. 글로벌 관세 인상 발표에 따른 시장 급락
2. 애플·아마존 등 주요 빅테크 실적 발표 후 주가 약세
3. 7월 고용·제조업 등 경제지표 부진
4. 위험 회피 심리 확산, 방어주 강세
5. 연준 9월 금리인하 기대 급증
6. 연준 이사 사임 등 추가 변수 등장

[2025-07-31] 빅테크 실적 호재에도 변동성 확대 및 하락 마감

1. 메타·마이크로소프트 실적 호조에도 상승폭 반납
2. 신기록 경신 후 전반적 이익실현 매물 출회
3. 퀄컴·ARM 등 반도체 업종 부진,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 급락
4. 헬스케어·부동산·소재 등 주요 업종 약세
5. 피그마 IPO, 개장 직후 폭등 속 거래 중단
6. 관세 등 대외 변수가 시장 불확실성 자극
7. 경제지표, 연준 추가 긴축 판단 유보 분위기
8. 고점 부담과 조정 우려에 VIX 급등

[2025-07-30] FOMC 여파에 증시 하락 전환

야간선물: 439.55 (-0.40, -0.09%)

다우: 44461.28 (-171.71, -0.38%)
나스닥: 21128.30 (+31.38, 0.15%)
S&P500: 6362.90 (-7.96, -0.12%)
미국채 10년물 금리: 4.38%

뉴욕증권거래소: ↑ 1390, ↓ 1342
나스닥: ↑ 1458, ↓ 3047

다우 YTD: +4.5%
나스닥 YTD: +9.4%
S&P500 YTD: +8.2%
S&P 중소형 400 YTD: +2.1%
러셀2000 YTD: +0.1%

1. FOMC, 기준금리 동결, 2명 이례적으로 인하 소수의견
2. 파월 발언에 9월 금리 인하 기대 급감
3. 증시, 금리 인하 기대 후퇴에 하락 반전
4. 업종별 혼조세, 유틸리티·기술주 선방, 소재·에너지 약세
5. 미 국채 수익률 상승, 10년물 4.38% 도달
6. GDP·고용지표 호조, 연준 추가 인하 지연 명분 제공
7. 마감 후 실적 발표 앞둔 MSFT·META, 반등 계기 될지 주목

[2025-07-29] 장중 사상 최고가 경신 후 매도세에 하락 마감

야간선물: 431.65 (-1.00, -0.23%)

다우: 44632.99 (-204.57, -0.46%)
나스닥: 21096.92 (-80.29, -0.38%)
S&P500: 6370.86 (-18.91, -0.30%)
미국채 10년물 금리: 4.33%

뉴욕증권거래소: ↑ 1390, ↓ 1342
나스닥: ↑ 1458, ↓ 3047

다우 YTD: +4.9%
나스닥 YTD: +9.3%
S&P500 YTD: +8.3%
S&P 중소형 400 YTD: +2.7%
러셀2000 YTD: +0.6%

1. 장중 기록 경신 후 매도세가 출현하며 주요 지수 하락 전환
2. IT 섹터 장중 상승세에서 0.2% 하락 마감, 반도체 지수는 0.2% 소폭 상승
3. UPS, 유나이티드헬스, 로얄 캐리비안, 뉴코어, 머크 등 주요 블루칩 주가 2% 이상 하락
4. 원유 가격 3.7% 급등, 배럴당 69.22달러 기록
5. 미 국채 가격 강세 및 금리 하락
6. 내일 FOMC 및 2분기 GDP 예비치 발표 대기

[2025-07-28] 유럽과의 무역협상 발표에 S&P500 및 나스닥 최고치 경신

야간선물: 431.65 (-1.00, -0.23%)

다우: 44837.56 (-64.36, -0.14%)
나스닥: 21177.21 (+70.27, 0.33%)
S&P500: 6389.77 (+1.13, 0.02%)
미국채 10년물 금리: 4.42%

뉴욕증권거래소: ↑ 953, ↓ 1782
나스닥: ↑ 1794, ↓ 2744

다우 YTD: +5.4%
나스닥 YTD: +9.7%
S&P500 YTD: +8.6%
S&P 중소형 400 YTD: +2.9%
러셀2000 YTD: +1.2%

1. 15% 관세 부과와 6,000억 달러 투자, 7,500억 달러 에너지 구매가 포함된 미국-유럽 무역협정 발표
2. S&P500과 나스닥 나란히 최고 기록 경신, 다우는 소폭 하락 마감
3. 에너지와 반도체 업종 중심의 강세, 소비재 및 정보기술도 소폭 상승
4. 테슬라-삼성 AI 칩 계약 소식에 테슬라 주가 3% 급등, 아마존도 실적 발표 기대감에 상승
5. 나머지 S&P500 업종은 대부분 하락, 매도세 우세
6. 향후 38% 시가총액 기업실적 발표 대기와 미국-중국 무역협상 재개로 모멘텀 제한
7. 미 국채 10년물 수익률 50일 이동평균선 넘어 상승

Go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