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줄시황

Home/한줄시황

[2025-10-08] 기술주 랠리에 S&P500·나스닥 신고가, 반도체·AI 테마 강세

야간선물: 휴장

다우: 46601.57 (-1.20, 0.00%)
나스닥: 23043.40 (+255.02, 1.12%)
S&P500: 6753.71 (+39.13, 0.58%)
미국채 10년물 금리: 4.12%

【상승·하락 종목수】
뉴욕증권거래소: ↑ 1632, ↓ 1105
나스닥: ↑ 3022, ↓ 1647

【연간 상승률】
다우: +9.5%
나스닥: +19.33%
S&P500: +14.8%
S&P 중소형 400: +5.4%
러셀2000: +11.4%

1. S&P500 , 나스닥 장중·종가 기준 모두 사상 최고치 경신
2. AMD 11.4% 급등, Dell 9.0% 상승, OpenAI 협력·성장 전망에 반도체지수 +3.4%

[2025-10-07] 기술주 약세, 방어주 상대적 강세

야간선물: 휴장

다우: 46602.77 (-91.99, -0.20%)
나스닥: 22788.38 (-153.30, -0.67%)
S&P500: 6714.58 (-25.69, -0.38%)
미국채 10년물 금리: 4.13%

【상승·하락 종목수】
뉴욕증권거래소: ↑ 887, ↓ 1865
나스닥: ↑ 1527, ↓ 3117

【연간 상승률】
다우: +9.5%
나스닥: +18.0%
S&P500: +14.2%
S&P 중소형 400: +4.3%
러셀2000: +10.2%

1. S&P500·나스닥 장 초반 사상 최고치 경신 후 하락 마감, 다우·중소형주도 동반 약세
2. 테슬라 4.5% 하락, 저가형 모델 Y 공개 실망감
3. 반도체지수 2.1% 하락, 오라클·NVIDIA 관련 우려, 기술 섹터 반락
4. 메가캡 전반적 하락세
5. 필수소비재·유틸리티 섹터 상승, 금융·에너지·헬스케어는 소폭 반등

[2025-10-06] AI 협력·기술주 강세 속 나스닥 신고가

야간선물: 휴장

다우: 46694.76 (-63.31, -0.14%)
나스닥: 22941.68 (+161.16, 0.71%)
S&P500: 6740.27 (+24.49, 0.36%)
미국채 10년물 금리: 4.15%

【상승·하락 종목수】
뉴욕증권거래소: ↑ 1266, ↓ 1483
나스닥: ↑ 2601, ↓ 2065

【연간 상승률】
다우: +9.8%
나스닥: +18.8%
S&P500: +14.6%
S&P 중소형 400: +5.5%
러셀2000: +11.5%

1. 나스닥 +0.7%로 사상 최고치 경신, S&P500도 종가 기준 최고치
2. AMD 23.7% 급등, OpenAI와 6GW 규모 AI 인프라 협력 발표
3. 반도체지수 +2.9% 상승, NVIDIA는 경쟁 우려로 하락
4. 테슬라 5.5% 상승, 신제품 예고로 소비재 섹터 +1.0%
5. 부동산·헬스케어·필수소비재·금융 섹터 하락, 시장 내 혼조 지속

[2025-10-03] 대형 기술주 약세로 혼조세

야간선물: 휴장

다우: 46758.07 (+238.56, 0.51%)
나스닥: 22780.52 (-63.54, -0.28%)
S&P500: 6715.78 (+0.44, 0.01%)
미국채 10년물 금리: 4.12%

【상승·하락 종목수】
뉴욕증권거래소: ↑ 1664, ↓ 1076
나스닥: ↑ 2746, ↓ 1842

【연간 상승률】
다우: +9.9%
나스닥: +18.0%
S&P500: +14.2%
S&P 중소형 400: +5.4%
러셀2000: +11.0%

1. 주요 지수, 장중 신고가 달성
2. 대형 기술주 부진, 지수 상승 제한
3. 유틸리티, 헬스케어 부문 강세 주도
4. 팔란티어 및 엔비디아, 개별 이슈로 약세
5. 소형주 및 중형주 상대적 강세
6. 정부 셧다운, 시장에 큰 영향 없어

[2025-10-02] 미 정부 셧다운 지속에도 증시 사상 최고치 경신

야간선물: 휴장

다우: 46519.51 (+78.62, 0.17%)
나스닥: 22844.06 (+88.89, 0.39%)
S&P500: 6715.34 (+4.15, 0.06%)
미국채 10년물 금리: 4.09%

【상승·하락 종목수】
뉴욕증권거래소: ↑ 1318, ↓ 1412
나스닥: ↑ 2661, ↓ 1932

【연간 상승률】
다우: +9.3%
나스닥: +18.3%
S&P500: +14.2%
S&P 중소형 400: +5.1%
러셀2000: +10.2%

1. S&P500·나스닥·다우 모두 사상 최고치 마감
2. 기술주가 지수 방어 역할
3. 반도체지수 1.9% 상승
4. 테슬라 5.1% 하락, 3분기 49.7만 대 인도, EV 세액공제 종료 영향
5. 정부 셧다운 주말까지 지속 전망, 상원 재개표 가능성 낮음
6. 주요 경제지표 발표 중단, 시장 관망세 속 거래 부진
7. 금리 인하 기대 지속, 10월 추가 인하 가능성 기정사실화

[2025-10-01] 미 증시, 정부 셧다운 무시하고 사상 최고치 경신

야간선물: 488.15 (+7.70, +1.60%)

다우: 46440.89 (+43.21, 0.09%)
나스닥: 22755.17 (+95.15, 0.42%)
S&P500: 6711.19 (+22.74, 0.34%)
미국채 10년물 금리: 4.10%

【상승·하락 종목수】
뉴욕증권거래소: ↑ 1609, ↓ 1146
나스닥: ↑ 2623, ↓ 1994

【연간 상승률】
다우: +9.2%
나스닥: +17.8%
S&P500: +14.1%
S&P 중소형 400: +4.9%
러셀2000: +9.7%

1. S&P500, 정부 셧다운에도 사상 최고치 경신
2. 고용시장 약화 확인, 9월 ADP 고용 32k 감소하며 금리 인하 기대감 급등
3. Fed 금리 인하 확률 100% 육박, 10월 FOMC 25bp 인하 기정사실화
4. 기술주 강세 지속, 반도체 지수 2.1% 상승
5. 정부 셧다운 장기화 우려, 주요 통계 보고서 발표 지연 불가피

[2025-09-30] 소비자신뢰지수 하락에 금리 인하 기대 강화, 헬스케어·기술주 상승 주도

야간선물: 477.40 (+1.55, +0.33%)

다우: 46397.68 (+81.82, 0.18%)
나스닥: 22660.02 (+68.86, 0.30%)
S&P500: 6688.45 (+27.25, 0.41%)
미국채 10년물 금리: 4.15%

【상승·하락 종목수】
뉴욕증권거래소: ↑ 1453, ↓ 1302
나스닥: ↑ 2264, ↓ 2352

【연간 상승률】
다우: +9.1%
나스닥: +17.3%
S&P500: +13.7%
S&P 중소형 400: +4.6%
러셀2000: +9.3%

1. S&P500·나스닥·다우 상승 마감, 9월과·3분기 모두 견조한 성과
2. 헬스케어 섹터 2.5% 급등
3. 정보기술 섹터 0.9% 상승, 3분기 누적 +13.0%로 최고 실적
4. NVIDIA 사상 최고가 경신, 반도체지수 0.9% 상승
5. 유가 1.8% 하락, OPEC+ 증산 전망 지속
6. 중소형주 상대적 약세
7. 9월 소비자신뢰지수 94.2로 하락, 금리 인하 기대 강화
8. 10월 인하 확률 96.7%, 12월 인하 확률 77.7%로 상승
9. 연준 인사, 고용·물가 전망 엇갈려
10. 정부 셧다운 임박, 예산안 합의 실패 시 주요 통계 발표 중단 우려

[2025-09-29] 정부 셧다운 우려에도 미 증시 소폭 상승, 대형 기술주 강세 둔화

야간선물: 476.55 (-0.50, -0.10%)

다우: 46315.86 (+68.78, 0.15%)
나스닥: 22591.16 (+107.09, 0.48%)
S&P500: 6661.20 (+17.51, 0.26%)
미국채 10년물 금리: 4.14%

【상승·하락 종목수】
뉴욕증권거래소: ↑ 1337, ↓ 1405
나스닥: ↑ 2505, ↓ 2131

【연간 상승률】
다우: +8.9%
나스닥: +17.0%
S&P500: +13.3%
S&P 중소형 400: +4.5%
러셀2000: +9.2%

1. S&P500·나스닥·다우 상승 마감, 장중 고점 대비 상승폭 축소
2. 대형 기술주 초반 강세 후 약화
3. 반도체주 장초 강세 후 후퇴
4. 시장 수급 혼조, 뉴욕증권거래소 하락주 우세, 나스닥 상승주 근소 우위
5. 정부 셧다운 우려 지속, 상원 단기 예산안 협상 중
6. 셧다운 시 노동부 통계 발표 중단, 고용보고서 지연 가능성
7. 금리 인하 기대 변화 없음

[2025-09-26] 3일 연속 하락세 끊고 반등

야간선물: 472.60 (+3.20, +0.68%)

다우: 46247.08 (+299.97, 0.65%)
나스닥: 22484.07 (+99.37, 0.44%)
S&P500: 6643.69 (+38.98, 0.59%)
미국채 10년물 금리: 4.18%

【상승·하락 종목수】
뉴욕증권거래소: ↑ 1830, ↓ 840
나스닥: ↑ 2870, ↓ 1690

【연간 상승률】
다우: +8.7%
나스닥: +16.4%
S&P500: +13.0%
S&P 중소형 400: +4.7%
러셀2000: +9.2%

1. S&P500·나스닥·다우 상승 마감
2. 8월 개인소득·소비 지표 모두 예상치 상회, 경기 회복세 확인
3. PCE 물가지수 전월 대비 +0.3%, 근원 PCE +0.2%, 인플레이션 우려 완화
4. 신규 관세 발표, 10월 1일부터 의약품·가구·트럭 등 수입품 대상
5. 대형 기술주 약세 지속, 엔비디아·마이크로소프트 오후 반등
6. 인텔 4.4% 상승, 애플 투자 기대감 반영, 7월 중순 이후 최고치
7. 테슬라 4% 상승, 소비재 섹터 +1.5%, 섹터별 상승폭 확대

[2025-09-25] 금리 인하 기대 약화에 미 증시 하락

야간선물: 478.55 (-2.55, -0.53%)

다우: 45947.11 (-173.96, -0.38%)
나스닥: 22384.70 (-113.16, -0.50%)
S&P500: 6604.71 (-33.25, -0.50%)
미국채 10년물 금리: 4.17%

【상승·하락 종목수】
뉴욕증권거래소: ↑ 734, ↓ 2010
나스닥: ↑ 1140, ↓ 3462

【연간 상승률】
다우: +8.0%
나스닥: +16.0%
S&P500: +12.3%
S&P 중소형 400: +3.6%
러셀2000: +8.1%

1. S&P500·나스닥·다우, 3거래일 연속 하락
2. 실업수당 청구 등 경제지표 강세, 금리 인하 기대 후퇴
3. 연준 인사 발언 엇갈려, 슈미트 ‘정책 적절’, 미란 ‘추가 인하 필요’
4. 대형 기술주 약세 지속, 오라클 5.6% 하락, 아마존·테슬라도 하락
5. 인텔 8.9% 급등, 애플 투자 기대감 반영, 애플·엔비디아도 상승 전환
6. 에너지 섹터 0.9% 상승, 정유주 반등, 이번 주 3.7% 상승에도 월간 기준은 부진
7. 헬스케어·소비재·소재 섹터 하락폭 확대, 각각 1% 이상 하락
8. 중소형주도 약세
9. 내일 발표될 PCE 물가지표, 금리 인하 기대의 향방 가를 핵심 변수로 주목

Go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