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줄시황

Home/한줄시황

[2025-04-30] 1분기 GDP 충격, 스태그플레이션 우려 속 혼조 마감

야간선물: 337.95 (-0.90, -0.27%)

다우: 40669.36 (+141.74, 0.35%)
나스닥: 17446.34 (-14.98, -0.09%)
S&P500: 5569.06 (+8.23, 0.15%)
미국채 10년물 금리: 4.17%

뉴욕증권거래소: ↑ 1651, ↓ 1017
나스닥: ↑ 2417, ↓ 1930

다우 YTD: -4.4%
나스닥 YTD: -9.7%
S&P500 YTD: -5.3%
S&P 중소형 400 YTD: -8.6%
러셀2000 YTD: -11.9%

1. 1분기 GDP 전기 대비 0.3% 감소, 시장 예상(0.4% 증가) 크게 하회, 스태그플레이션 경계감 부각
2. 물가 둔화 조짐, PCE 지표가 안도감 제공
3. 소비심리 불안, 스타벅스·크루즈 실적 부진
4. 개인소득과 지출은 견조, 관세 앞둔 선행 소비 증가
5. 고용 비용 둔화, 임금상승 압력 완화
6. 제조업 지표 시카고 PMI 부진, 제조업 활동 위축 신호로 경기 둔화 우려 가중
7. 주택 시장은 깜짝 반등, 금리 안정과 계절적 수요 회복이 호조 배경
8. S&P500 장중 최대 2.3% 하락 후 반등하여 0.2% 상승 마감

[2025-04-29] 관망세 속 상승 마감

야간선물: 340.00 (+0.25, +0.07%)

다우: 40527.62 (+300.03, 0.75%)
나스닥: 17461.32 (+95.18, 0.55%)
S&P500: 5560.83 (+32.07, 0.58%)
미국채 10년물 금리: 4.17%

뉴욕증권거래소: ↑ 1651, ↓ 1017
나스닥: ↑ 2417, ↓ 1930

다우 YTD: -4.7%
나스닥 YTD: -9.6%
S&P500 YTD: -5.5%
S&P 중소형 400 YTD: -8.3%
러셀2000 YTD: -11.4%

1. 실적 발표가 이어지는 가운데, 투자자들의 매수 심리 유지
2. 관세 불확실성 여전, 중국은 현재 미국과 협상이 없다고 밝혀
3. 트럼프, 중복 관세 방지 행정명령 서명, 관세 우려 일부 완화
4. 소비자신뢰지수 급락, 기대지수 2011년 이후 최저
5. 에너지 약세 속 금융·소재·필수소비재 강세

[2025-04-28] 관망 속 혼조세’, 빅테크 실적과 경제지표 대기

야간선물: 337.40 (-0.10, -0.03%)

다우: 40227.59 (+114.09, 0.28%)
나스닥: 17366.12 (-16.81, -0.10%)
S&P500: 5528.77 (+3.54, 0.06%)
미국채 10년물 금리: 4.22%

뉴욕증권거래소: ↑ 1651, ↓ 1017
나스닥: ↑ 2417, ↓ 1930

다우 YTD: -5.5%
나스닥 YTD: -10.1%
S&P500 YTD: -6.0%
S&P 중소형 400 YTD: -8.9%
러셀2000 YTD: -11.9%

1. 관망 분위기 속 혼조세 마감
2. 마이크로소프트, 메타, 애플, 아마존 등 빅테크 실적 발표 대기
3. 1분기 GDP 속보치, 3월 개인소득 및 지출, 4월 제조업지수, 고용지표 등 주요 경제지표 대기 부담

[2025-04-25] 대형 기술주 중심 상승 마감

야간선물: 338.40 (+1.00, +0.30%)

다우: 40113.50 (+20.10, 0.05%)
나스닥: 17382.93 (+216.90, 1.26%)
S&P500: 5525.23 (+40.44, 0.74%)
미국채 10년물 금리: 4.27%

뉴욕증권거래소: ↑ 1418, ↓ 1243
나스닥: ↑ 2331, ↓ 1976

다우 YTD: -5.4%
나스닥 YTD: -9.8%
S&P500 YTD: -6.1%
S&P 중소형 400 YTD: -9.3%
러셀2000 YTD: -12.3%

1. 테슬라와 알파벳 등 대형 기술주, 시장 상승 견인
2. 주요 지수 주간 상승률 2.5~6.7% 기록
3. 경기심리 개선, 소비자심리지수 상향 조정
4. 국채 수익률 하락, 시장에 우호적 환경 조성
5. 통신·소비재·기술 섹터 강세

[2025-04-24] 3일 연속 랠리, S&P500 4월 저점 대비 10.1% 상승

야간선물: 337.85 (+4.35, +1.30%)

다우: 40093.40 (+486.83, 1.23%)
나스닥: 17166.03 (+457.99, 2.74%)
S&P500: 5484.79 (+108.91, 2.03%)
미국채 10년물 금리: 4.31%

뉴욕증권거래소: ↑ 2247, ↓ 447
나스닥: ↑ 3371, ↓ 993

다우 YTD: -5.8%
나스닥 YTD: -11.1%
S&P500 YTD: -6.8%
S&P 중소형 400 YTD: -8.9%
러셀2000 YTD: -12.2%

1. 대형 기술주·반도체 중심 강세
2. 단기 매도 청산 및 FOMO 현상
3. 주간 실업수당 청구 건수가 22만 2천 건으로 견조, 국채금리 하락
4. 엇갈린 실적 반응
– IBM(-6.6%), 사우스웨스트 항공(-3.7%), 서비스나우(+15.5%), 텍사스 인스트루먼트(+6.6%)
– 장 마감 후 실적 발표, 구글 상승, 인텔 하락

[2025-04-23] 트럼프 발언 훈풍에 증시 이틀 연속 상승

야간선물: 334.80 (0.00, 0.00%)

다우: 39606.57 (+419.59, 1.07%)
나스닥: 16708.04 (+407.63, 2.50%)
S&P500: 5375.88 (+88.10, 1.67%)
미국채 10년물 금리: 4.39%

뉴욕증권거래소: ↑ 1947, ↓ 672
나스닥: ↑ 3229, ↓ 1140

다우 YTD: -6.9%
나스닥 YTD: -14.5%
S&P500 YTD: -8.6%
S&P 중소형 400 YTD: -10.7%
러셀2000 YTD: -14.0%

1. 트럼프, 파월 의장·중국에 유화 제스처
2. 기술주·대형주 주도 강세
3. 실적 발표 종목 호조, 테슬라·보잉 급등
4. 대부분 업종 상승, IT 섹터 두드러져
5. 채권 시장은 보합세 유지

[2025-04-22] 전날 급락 딛고 증시 급반등

야간선물: 330.55 (+2.00, +0.61%)

다우: 39186.98 (+1016.57, 2.66%)
나스닥: 16300.41 (+429.52, 2.71%)
S&P500: 5287.78 (+129.56, 2.51%)
미국채 10년물 금리: 4.39%

뉴욕증권거래소: ↑ 2528, ↓ 251
나스닥: ↑ 3588, ↓ 814

다우 YTD: -7.6%
나스닥 YTD: -15.6%
S&P500 YTD: -10.1%
S&P 중소형 400 YTD: -11.9%
러셀2000 YTD: -15.2%

1. 과매도에 따른 반발 매수 유입, ‘저가 매수’ 심리 작동
2. 블룸버그 ‘중국, 관세 갈등 완화 기대’ 보도에 낙관론 자극
3. 테슬라 등 대형 기술주 강세, 증시 반등 견인
4. S&P 전 섹터 상승, 금융·소비재 섹터 강세 두드러져
5. 미 국채금리 하락·달러 강세, 전날 급락 요인 일부 해소

[2025-04-21] 미중 갈등과 연준 독립성 위협에 증시 급락

야간선물: 휴장

다우: 38170.41 (-971.82, -2.48%)
나스닥: 15870.89 (-415.55, -2.55%)
S&P500: 5158.22 (-124.50, -2.36%)
미국채 10년물 금리: 4.41%

뉴욕증권거래소: ↑ 413, ↓ 2314
나스닥: ↑ 1222, ↓ 3166

다우 YTD: -10.3%
나스닥 YTD: -17.8%
S&P500 YTD: -12.3%
S&P 중소형 400 YTD: -14.1%
러셀2000 YTD: -17.5%

1. 미중 무역 긴장 고조
– 중국, 자국에 불리한 미국과의 무역협정에 동참하는 국가들에 대해 보복 가능성 경고

2. 트럼프, 파월 의장 해임 검토설
– 중앙은행의 독립성에 대한 우려 확산

3. 기술주 중심으로 투자심리 위축
– 엔비디아, 테슬라, 마이크로소프트 등 대형 기술주 크게 하락
– 나스닥 2.6%, S&P500 2.4% 급락

4. 위험자산 회피 심리 확산
– 장기채 금리 상승, 달러 약세
– 10년물 국채 수익률 4.41%로 상승, 달러지수는 1.1% 하락

[2025-04-17] 다우 하락, 대형 기술주 반등

야간선물: 326.80 (+0.45, +0.14%)

다우: 39142.23 (-527.16, -1.33%)
나스닥: 16286.44 (-20.71, -0.13%)
S&P500: 5282.72 (+7.00, 0.13%)
미국채 10년물 금리: 4.33%

뉴욕증권거래소: ↑ 1998, ↓ 634
나스닥: ↑ 2895, ↓ 1428

다우 YTD: -8.0%%
나스닥 YTD: -15.7%
S&P500 YTD: -10.2%
S&P 중소형 400 YTD: -12.1%
러셀2000 YTD: -15.7%

1. 다우지수, 유나이티드헬스 충격에 하락
– 유나이티드헬스, 부진한 실적과 연간 이익 전망 하향으로 22% 넘게 급락
– 가격가중 방식인 다우지수에 큰 타격

2. S&P500·나스닥 혼조세, 대형주 반등
– S&P500은 0.1% 소폭 상승, 나스닥은 0.1% 하락으로 혼조
– 대만 TSMC 등 일부 대형주가 지수 방어에 기여

3. 트럼프 “무역협상 잘 되고 있다”
– 트럼프, 무역협상에 대해 긍정적 언급
– 투자심리 일부 개선, 매수세 유입

4. 시장 전반 긍정적 흐름 유지, 중소형주 강세

[2025-04-16] 파월·칩 수출 규제·관세 우려 ‘삼중고’에 기술주 급락

야간선물: 321.45 (-2.40, -0.74%)

다우: 39669.39 (-699.57, -1.73%)
나스닥: 16307.15 (-516.01, -3.07%)
S&P500: 5275.72 (-120.91, -2.24%)
미국채 10년물 금리: 4.28%

뉴욕증권거래소: ↑ 1001, ↓ 1654
나스닥: ↑ 1456, ↓ 2883

다우 YTD: -6.8%%
나스닥 YTD: -15.6%
S&P500 YTD: -10.3%
S&P 중소형 400 YTD: -12.8%
러셀2000 YTD: -16.4%

1. 엔비디아·AMD, 대중 수출 규제 충격
– 엔비디아는 H20 AI 칩 대중 수출 제한으로 1분기 최대 55억 달러의 손실을 예고하며 6.9% 급락
– AMD도 8억 달러 손실 전망을 발표하며 동반 하락
– H20 칩은 중국 시장에 맞춰 설계됐으나, 이번 조치로 중국 매출이 사실상 거의 사라질 것으로 분석

2. 연준 파월 의장, Fed Put 부정 및 성장 우려 표명
– 올해 연준의 이중 목표(고용·물가) 진전이 없을 것으로 전망, 시장의 금리 인하 기대 일축
– Fed Put(시장 하락 시 연준 개입)도 없다고 밝혀 투자심리에 추가 부담

3. 관세 우려, 투자심리 위축
– 미중 무역갈등 심화와 추가 관세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지속되며, 기업과 투자자 모두 불확실성에 노출
– 최근 소매판매 호조는 관세 영향으로 인한 선행 구매로 데이터가 부풀려졌을 가능성 제기됨

4. 기술·반도체주 중심의 매도세, 주요 지수 급락

Go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