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줄시황

Home/한줄시황

[2024-09-10] 증시 혼조세, 대형주 변동성과 CPI 대기

다우: -0.23%
나스닥: +0.84%
S&P500: +0.45%

뉴욕증권거래소: 상승종목 1426개, 하락종목 1305개
나스닥: 상승종목 2133개, 하락종목 2001개

지수 혼조세
은행주 약세: JPMorgan (-5.2%), Goldman Sachs (-4.4%)
S&P500 금융 섹터 1.0% 하락, 에너지 섹터 1.9% 하락
유가 하락으로 WTI 원유 선물 4.1% 급락
채권 시장 긍정적

[2024-09-09] 증시 반등, 주요 지수 상승 마감

다우: +1.20%
나스닥: +1.16%
S&P500: +1.16%

뉴욕증권거래소: 상승종목 1789개, 하락종목 934개
나스닥: 상승종목 2547개, 하락종목 1654개

대형주와 반도체 주도 상승
구글 반독점 재판 시작으로 1.6% 하락
애플 제품 발표 후 소폭 상승
S&P500 11개 섹터 모두 상승

시장의 반등이 가짜 상승(숏 스퀴즈/불 트랩/데드캣 바운스 중 어느 하나)인지 아닌지 아직은 알 수 없음

참고.
숏 스퀴즈 (Short Squeeze): 공매도 투자자들이 손실을 막기 위해 주식을 급히 매수하면서 가격이 급등하는 현상
불 트랩 (Bull Trap): 주가가 잠시 상승하여 투자자들을 유인한 후 다시 하락하는 현상
데드캣 바운스 (Dead Cat Bounce): 주가가 큰 폭으로 하락한 후 일시적으로 반등했다가 다시 하락하는 현상

[2024-09-06] 9월 첫 주 하락 마감, 주요 지수 큰 폭 하락

다우: -1.01%
나스닥: -2.55%
S&P500: -1.73%

뉴욕증권거래소: 상승종목 625개, 하락종목 3102개
나스닥: 상승종목 1089개, 하락종목 3123개

주요 지수 급락, 18개월 만에 최악의 주 마감
8월 고용 보고서 실망: 고용 증가 예상 하회, 7월과 6월 고용 수치 하향 수정
임금 상승, 소비에 긍정적 영향: 평균 시간당 임금 0.4% 상승으로 소비 촉진 기대
연준 금리 인하 기대감 하락: 50bp 인하 가능성 29%로 감소, FOMC 회의 앞두고 불확실성 확대
반도체 섹터 부진: Broadcom 실적 가이던스 실망으로 반도체 지수 4.5% 하락, 대형주도 동반 하락
반도체 섹터 하락은 AI 성장 기대에 대한 재조정 신호일 수 있음
채권 수익률 하락: 10년물 국채 수익률 주간 기준 20bp 하락, 2년물 수익률 28bp 하락

[2024-09-05] 혼조세 지속, 나스닥 소폭 상승, S&P500 하락

다우: -0.54%
나스닥: +0.25%
S&P500: -0.30%

뉴욕증권거래소: 상승종목 1210개, 하락종목 1526개
나스닥: 상승종목 1832개, 하락종목 2366개

나스닥 0.3% 상승, 대형 기술주 상승 주도
S&P500 0.3% 하락하며 8월 15일 이후 처음으로 50일 이동평균선 아래에서 마감
내일 발표될 8월 고용 보고서 앞두고 투자자들의 신중한 태도 지속
ADP 고용 보고서는 예상보다 약했으나, 주간 실업수당 청구는 예상보다 좋음
2025년 1분기 중국과 유럽에서 자율주행 기술 도입 가능성 보도에 힘입어 테슬라 4.9% 상승

[2024-09-04] 미 증시 보합 마감, 50일 이동평균선 지지 확인

다우: +0.09%
나스닥: -0.30%
S&P500: -0.16%

뉴욕증권거래소: 상승종목 1414개, 하락종목 1323개
나스닥: 상승종목 1909개, 하락종목 2308개

S&P500, 50일 이동평균선 이탈 후 반등
확신 부족, 대형 기술주 변동성 지속
엔비디아, DOJ 소환장 관련 소문 부인 후 주가 1.7% 하락
JOLTS 보고서, 구인 건수 2021년 이후 최저치 기록
채권 수익률 하락, 고용시장 약세가 금리 인하 기대 높여
금요일 발표될 8월 비농업 고용 보고서, 연준 결정에 중요한 변수

[2024-09-03] 글로벌 성장 우려로 미 증시 급락, 주요 지수 큰 폭 하락

다우: -1.51%
나스닥: -3.26%
S&P500: -2.12%

뉴욕증권거래소: 상승종목 771개, 하락종목 1991개
나스닥: 상승종목 1001개, 하락종목 3317개

중국 제조업 PMI 악화, 경기 우려 부각
ISM 제조업 지수 예상 하회, 성장 둔화 우려 확산
기술주 및 반도체 주도 하락, 나스닥·S&P500 큰 폭 하락
에너지주도 하락, 유가 4.3% 급락

[2024-08-30] 연휴를 앞두고 경제 지표와 실적에 힘입어 강세로 마감

다우: +0.55%
나스닥: +1.13%
S&P500: +1.01%

뉴욕증권거래소: 상승종목 1814개, 하락종목 956개
나스닥: 상승종목 2515개, 하락종목 1631개

미국 주식시장은 노동절 연휴를 앞두고 강세 마감
다우 지수는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며 상승세를 이어감

Dell, Marvell, MongoDB 실적 긍정적
Amazon, Tesla, NVIDIA 강세

7월 개인 소득과 지출이 각각 0.3%와 0.5% 증가
PCE 물가지수는 전년 대비 2.5%로 안정적 수준 유지

S&P500 11개 섹터 모두 상승 마감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2.6% 급등했으나, 주간 기준으로는 1.3% 하락

[2024-08-29] 엔비디아 급락에도 시장 전반 긍정적 흐름 유지

다우: +0.59%
나스닥: -0.23%
S&P500: 0.00%

뉴욕증권거래소: 상승종목 1857개, 하락종목 850개
나스닥: 상승종목 2551개, 하락종목 1588개

다우 지수는 4 거래일 중 3번째 사상 최고치 기록
반도체와 대형주 매도세로 초반의 상승세 반납
S&P500 보합, 나스닥 0.2% 하락
엔비디아 급락(-6.4%)이 시장 전반에 압력

동일가중 S&P500 지수는 0.4% 상승

[2024-08-28] 반도체 및 대형주 부진으로 하락

장중: Super Micro Computer 19% 급락 등 반도체 섹터 및 기술주 하락
장 마감 후: 기대 이상의 실적을 발표했음에도 엔비디아 하락, 투자자들의 실망감 반영

그간 크게 올랐던 M7 등의 조정
시장 전체적으로는 오히려 쏠림이 약화되며 긍정적

[2024-08-27] 낮은 거래량 속 소폭 상승, 엔비디아 실적 발표 대기

S&P500, 나스닥, 다우 소폭 상승, 러셀2000 0.7% 하락
노동절 앞두고 거래량 감소, 엔비디아 실적 발표 대기 중
PHLX 반도체 지수 1.1% 상승, 대형주 ETF도 소폭 상승
금리 인하 기대감 유지, 인하 폭은 금요일 발표될 PCE 보고서에 달려
거래량 감소에 따른 변동성 증가 가능성 주의

Go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