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줄시황

Home/한줄시황

[2024-08-12] 주요 경제지표 앞두고 관망 혼조세

S&P500, 다우, 나스닥 지수 혼조 마감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엔비디아, 브로드컴의 상승에 IT 섹터 0.9% 상승
중동 불안으로 원유 가격 상승
뉴욕 연방준비은행의 기대 인플레이션 하락

화요일 홈 디포, 목요일 월마트 실적 발표 주목
화요일 PPI, 수요일 CPI, 목요일 소매 판매 발표 대기

[2024-08-09] 주요 지수 일간 소폭 상승, 주간 소폭 하락

일간: 다우 +0.13%, S&P500 +0.47%, 나스닥 +0.51%
주간: 다우 -0.60%, S&P500 -0.04%, 나스닥 -0.18%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메타 등 대형주가 지수 상승에 기여

주초의 변동성 이후 매수자나 매도자 모두 확신을 가지지 못한 채 주간 거래를 마쳤다.
일본 니케이 지수가 급락하며 시작된 글로벌 매도세가 단순한 일시적 현상인지 아직은 판단하기 어렵다.
미국 경제에 대한 우려, AI에 대한 기대감 축소, 중동의 긴장 등은 여전하기 때문이다.

다음 주는 생산자물가지수(PPI), 소비자물가지수(CPI), 그리고 소매 판매 등 여러 중요한 경제 지표 발표가 있어서 다시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

[2024-08-06] 약한 반등

주요 지수들이 월요일의 급락에서 반등했으며, 국채 수익률도 상승했다. 그러나 장 후반의 매도 압력과 높은 변동성은 본격적인 반등의 때가 아님을 시사한다.

S&P500: 5,240.03 (+53.7, +1%)
다우: 38,997.66(+294.39, +0.76%)
나스닥: 16,366.85(+166.77, +1%)

[2024-08-05] 글로벌 매도세 강화, 주가 급락

미국 경제 성장에 대한 우려로 시작된 글로벌 매도세 강화
– 일본 니케이 지수 12% 급락, 미국 시장에도 경계심 확산
– 엔화 강세로 인해 엔화 캐리 트레이드 청산 발생

미국 주요 지수 하락
– 다우: -2.6%
– S&P500: -3.0%
– 나스닥: -3.4%
오늘의 하락으로 S&P500 지수는 조정 국면에 근접하였으며, 7월 16일 고점 대비 9.3% 하락 마감

전체 시장이 하락세
– S&P500 종목 중 22개만이 금요일 대비 상승 마감
– 다우 지수의 30개 구성 종목 모두 하락
– S&P500의 11개 섹터 모두 하락

대형주 및 반도체 섹터가 하락세 주도

이번 주 반등이 나오더라도 기술적으로 놀라운 일이 아니다. 다만 반등이 추세적으로 이어지지 못할 가능성이 높으니 그에 맞게 전략을 구사해야 할 것이다. 역사는 말한다. 향후 수개월간 고변동성이 지속될 것임을.

[2024-08-02] 고용지표와 실적 실망으로 시장 급락

주요 지수 대폭 하락
다우: -1.5%
S&P500: -1.8%
나스닥: -2.4%
러셀2000: -3.5%

애플, 아마존, 인텔 등의 실망스러운 실적
고용 보고서 발표 후 매도세 확대
경기 침체 우려 및 경착륙 가능성 대두
인플레이션 위험에서 경기 침체 위험으로 관심 전환되며 나쁜 뉴스가 나쁜 뉴스로 인식
10년물 국채 수익률 6개월 만에 최저치 기록 (3.98%)
CME 페드 워치 툴에 따르면 9월 FOMC 회의에서 50bp 금리 인하 확률이 전날 22.0%에서 71.5%로 상승

[2024-08-01] 경기 둔화 우려로 큰 폭 하락

주요 지수 대폭 하락
다우: -1.2%
S&P500: -1.4%
나스닥: -2.3%
러셀2000: -3.0%

경제 지표에 따른 성장 우려
– 주간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 249,000건 (예상 233,000건), 노동 시장의 약화 시사
– ISM 제조업 지수: 46.8% (예상 48.5%), 제조업 부문 약화 지속

IT와 반도체 섹터 약세
IT 섹터: -3.4%
PHLX 반도체 지수: -7.1%

7월 고용 보고서: 내일 8:30 ET 발표, 연준 정책에 대한 영향 주목

[2024-07-31] 반도체 수요 및 금리 인하 기대감에 상승

S&P500 1.6% 상승, 나스닥 2.6% 상승
다우 0.2%, 러셀2000 지수 0.5% 상승

연준, 연방기금금리 5.25%~5.5% 유지

FOMC 성명서
– 9월 금리 인하 가능성 시사
– 고용 증가 “강세 유지”에서 “완화”로 수정

파월
– 인플레이션 목표 2% 달성에 진전
– 노동 시장 약화
– 필요한 데이터 도착 시 9월 금리 인하 가능

반도체 섹터와 대형주 강세
엔비디아 12.8% 상승, 반도체 지수 7.0% 상승

[2024-07-30] 기술주 조정 심화

반도체 주식 급락
–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SOX), 7월 10일 최고점 대비 약 17% 하락
– 엔비디아, 브로드컴 급락
– AMD는 실적 발표 후 애프터마켓에서 상승 중

MS는 실적 발표 후 애프터마켓에서 하락 중

소형주와 에너지, 금융, 부동산 섹터로 자금 이동

기술주 조정은 과매수 상태, 엔 캐리 트레이드 청산, 섹터별 자금 이동, AI 관련 투자 지출에 대한 투자자들의 경계심이 원인

이번 주 연준과 일본은행 회의 주목

Go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