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줄시황

Home/한줄시황

[2025-08-19] 잭슨홀 앞두고 방어적 포지션 강화, 대형 기술주 약세

야간선물: 423.40 (-3.05, -0.72%)

다우: 44922.27 (+10.45, 0.02%)
나스닥: 21313.57 (-314.82, -1.46%)
S&P500: 6411.37 (-37.78, -0.59%)
미국채 10년물 금리: 4.31%

【상승·하락 종목수】
뉴욕증권거래소: ↑ 1541, ↓ 1193
나스닥: ↑ 1566, ↓ 2944

【연간 상승률】
다우: +5.6%
나스닥: +10.4%
S&P500: +9.0%
S&P 중소형 400: +2.1%
러셀2000: +2.1%

1. 대형 기술주 부진, 시장 전반 하락 견인
2. S&P500·나스닥 하락, 다우지수는 사상 최고치 후 보합
3. 기술·통신·소비재·에너지 섹터 약세
4. 인텔 강세에도 반도체 지수 하락
5. 방어적 섹터 중심으로 자금 이동
6. 소형주 외면, 러셀2000 하락
7. 홈디포 실적 발표에 다우지수 선방
8. 주택 착공 지표 혼조, 단독주택 부문 약세
9. 미·러·우 3자 회담 추진, 시장 반응은 미미

[2025-08-18] 금리 인하 기대 속 관망세 지속, 잭슨홀 심포지엄 앞두고 시장 숨 고르기

야간선물: 434.75 (-1.25, -0.29%)

다우: 44911.82 (-34.30, -0.08%)
나스닥: 21628.39 (+6.80, 0.03%)
S&P500: 6449.15 (-0.65, -0.01%)
미국채 10년물 금리: 4.34%

【상승·하락 종목수】
뉴욕증권거래소: ↑ 1517, ↓ 1218
나스닥: ↑ 2487, ↓ 2051

【연간 상승률】
다우: +5.6%
나스닥: +12.0%
S&P500: +9.7%
S&P 중소형 400: +1.9%
러셀2000: +2.9%

1. 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감, 시장 분위기 주도
2. 주요 지수 횡보, 뚜렷한 방향성 없이 마감
3. 섹터별 혼조세, 산업·소비재 강세, 부동산·통신 약세
4. 헬스케어 섹터, 초반 강세 후 상승폭 반납
5. 중소형주 강세, 러셀2000·S&P 중형주 상승
6. 유통업종 기대감 반영, 실적 발표 앞두고 상승세

[2025-08-15] 헬스케어 급등 속 사상 최고치 경신, 반도체 부진에 혼조 마감

야간선물: 휴장

다우: 44946.12 (+34.86, 0.08%)
나스닥: 21621.59 (-87.69, -0.40%)
S&P500: 6449.80 (-18.74, -0.29%)
미국채 10년물 금리: 4.32%

【상승·하락 종목수】
뉴욕증권거래소: ↑ 1149, ↓ 1583
나스닥: ↑ 1889, ↓ 2609

【연간 상승률】
다우: +5.7%
나스닥: +12.0%
S&P500: +9.7%
S&P 중소형 400: +1.7%
러셀2000: +2.5%

1. 다우·S&P500, 장중 사상 최고치 경신
2. 버크셔 해서웨이, 유나이티드헬스 대규모 매입
3. 헬스케어 섹터, 일간·주간 최고 상승률 기록
4. 알파벳·메타 상승, 커뮤니케이션 섹터 견조
5. 부동산·필수소비재 등 일부 방어주 강세
6.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 가이던스 쇼크
7. 반도체주 약세,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급락
8. 대형 기술주·중소형주 동반 하락
9. 인플레이션 우려로 금리 인하 기대감 후퇴
10. 시카고 연은 총재, 물가 지표 과잉 반응 경계

[2025-08-14] 생산자물가 급등에도 증시 강보합

야간선물: 434.75 (-1.25, -0.29%)

다우: 44911.26 (-11.01, -0.02%)
나스닥: 21709.28 (-2.47, -0.01%)
S&P500: 6468.54 (+1.96, 0.03%)
미국채 10년물 금리: 4.29%

【상승·하락 종목수】
뉴욕증권거래소: ↑ 714, ↓ 2008
나스닥: ↑ 1457, ↓ 3046

【주간·연간 상승률】
다우: +1.7%, +5.56%
나스닥: +1.2%, +12.43%
S&P500: +1.2%, +9.98%
S&P 중소형 400: +2.1%, +2.25%
러셀2000: +3.6%, +3.09%

1. 7월 PPI 예상 크게 상회, 금리 인하 기대 일부 후퇴
2. 50bp 인하 가능성 약화, 연준 인사 신중론 강조
3. 장 초반 전반적인 약세 후 낙폭 축소
4. 대형주 중심 반등, S&P500 소폭 상승 마감
5. 통신·소비재·헬스케어·금융 업종 강세
6. 중소형주 약세, 순환매 열기 일부 식어

[2025-08-13] 금리 인하 기대감에 힘입어 사상 최고치 기록

야간선물: 437.70 (+0.65, +0.15%)

다우: 44922.27 (+463.66, 1.04%)
나스닥: 21711.75 (+31.24, 0.14%)
S&P500: 6466.58 (+20.82, 0.32%)
미국채 10년물 금리: 4.24%

【상승·하락 종목수】
뉴욕증권거래소: ↑ 2184, ↓ 558
나스닥: ↑ 3275, ↓ 1246

【주간·연간 상승률】
다우: +1.7%, +5.59%
나스닥: +1.2%, +12.44%
S&P500: +1.2%, +9.95%
S&P 중소형 400: +3.5%, +3.58%
러셀2000: +4.9%, +4.39%

1. S&P500·나스닥, 연이은 사상 최고치 경신
2. 금리 인하 기대감이 시장 랠리 주도
3. 7월 CPI 안정, 연준 9월 인하 베팅 강화
4. 대형 기술주 부진, 중소형주와 소재주 강세
5. 헬스케어·건설·소비재 업종 두각
6. 금리 인하 수혜 기대감에 업종 순환 움직임 감지

[2025-08-12] 7월 CPI 기대 부합, 금리 인하 기대 확산 속 미 증시 사상 최고치 경신

야간선물: 435.90 (+3.70, +0.86%)

다우: 44458.61 (+483.52, 1.10%)
나스닥: 21680.51 (+296.50, 1.39%)
S&P500: 6445.76 (+72.31, 1.13%)
미국채 10년물 금리: 4.29%

【상승·하락 종목수】
뉴욕증권거래소: ↑ 2232, ↓ 521
나스닥: ↑ 3341, ↓ 1218

【주간·연간 상승률】
다우: +0.6%, +4.50%
나스닥: +1.1%, +12.28%
S&P500: +0.9%, +9.59%
S&P 중소형 400: +1.9%, +1.98%
러셀2000: +2.9%, +2.36%

1. 7월 CPI와 근원 CPI 모두 예상치 부합, 인플레 우려 완화
2. 9월 기준금리 25bp 인하 가능성 94%로 상승, 연내 추가 인하 전망 확대
3. S&P500·나스닥, 장중·종가 기준 사상 최고치 경신
4. 중소형주 강세 두드러져 러셀2000 3% 급등
5. 전 업종 상승 마감, 통신·IT·금융 주도
6. 항공주·반도체주 급등, 관련 지수 3% 상승
7. 미 국채 시장 장단기 금리 엇갈림, 장기물 금리 소폭 상승

[2025-08-11] 미중 무역 갈등 속 기술·금융 패권 이슈로 글로벌 시장 요동

야간선물: 433.05 (-0.50, -0.12%)

다우: 43975.09 (-200.52, -0.45%)
나스닥: 21384.01 (-64.62, -0.30%)
S&P500: 6373.45 (-16.00, -0.25%)
미국채 10년물 금리: 4.29%

【상승·하락 종목수】
뉴욕증권거래소: ↑ 1206, ↓ 1533
나스닥: ↑ 1971, ↓ 2574

【연간 상승률】
다우: +3.36%
나스닥: +10.74%
S&P500: +8.36%
S&P 중소형 400: -0.32%
러셀2000: -0.61%

1. AI 반도체 수출 대가로 미국 정부에 15% 매출 배분
2. 연준 관계자 3회 금리 인하 가능성 재확인
3. 물가·소비지표 앞두고 증시 관망세
4. 나스닥, 사상 최고치 경신 후 약세 마감
5. IT·반도체 강세 속 변동성 확대
6. 소비·헬스케어 업종만 상승 마감
7. 트럼프 행정부, 대중 관세 유예 90일 연장
8. 트럼프-푸틴 회담, 우크라이나 분쟁 해법 논의 전망

[2025-08-08] 나스닥 사상 최고치 경신, S&P500도 근접

야간선물: 436.50 (+2.65, +0.61%)

다우: 44175.61 (+206.97, 0.47%)
나스닥: 21448.63 (+207.32, 0.98%)
S&P500: 6389.45 (+49.45, 0.78%)
미국채 10년물 금리: 4.29%

[상승·하락 종목수] 뉴욕증권거래소: ↑ 1486, ↓ 1226
나스닥: ↑ 2353, ↓ 2125

[주간 상승률] 다우: +1.4%
나스닥: +3.9%
S&P500: +2.4%
S&P 중소형 400: +0.6%
러셀2000: +2.4%

1. 기술주 중심 나스닥, 사상 최고치 마감 및 주간 연속 상승
2. S&P500, 기록적 고점에 0.2p 차이로 마감하며 0.8% 상승
3. 애플·알파벳·테슬라 등 메가캡 주도하에 대형주 중심 랠리
4. 매수세 유입 속 “저가 매수” 심리 강화, 실적발표는 중소형주 위주
5. 대부분 업종 상승, 리츠·유틸리티 등 일부 업종만 약세
6. 미·러 간 우크라이나 전쟁 관련 협상 가능성과 미·러 정상회담 추진 소식
7. 금값 1%대 급등, 일부 무역·관세 불확실성에 안전자산 선호 강화
8. 중소형주·동일가중 지수는 상대적 부진, 대형주 쏠림 현상 심화

[2025-08-07] 미국내 생산 투자 조건 반도체 100% 관세 예외, 혼조 마감

야간선물: 434.35 (-0.45, -0.10%)

다우: 43968.64 (-224.48, -0.51%)
나스닥: 21241.31 (+73.27, 0.35%)
S&P500: 6340.00 (-5.06, -0.08%)
미국채 10년물 금리: 4.25%

[상승·하락 종목수] 뉴욕증권거래소: ↑ 1293, ↓ 1421
나스닥: ↑ 1949, ↓ 2582

[주간 상승률] 다우: +0.9%
나스닥: +2.9%
S&P500: +1.6%
S&P 중소형 400: +0.6%
러셀2000: +2.2%

1. 반도체 관세 예외 조치에 기술주 강세 출발
2. 장중 매도세 확산, 시장은 혼조로 마감
3. 반도체·첨단주 급등 후 차익 실현, 업종별 변동성 확대
4. 고용지표 부진
5. 방어주 상대적 강세, 헬스케어·금융주 하락
6. WTI 유가 6월 이후 최저
7. 트럼프, 연준 이사회 인선 공식 발표 및 의장 후보 지명설 부상
8. 대외 불확실성 지속

[2025-08-06] 대형주 상승 주도, 애플 1,000억 달러 미국 투자로 시장 분위기 반전

야간선물: 432.75 (+1.45, +0.34%)

다우: 44193.12 (+81.38, 0.18%)
나스닥: 21168.04 (+252.87, 1.21%)
S&P500: 6345.06 (+45.87, 0.73%)
미국채 10년물 금리: 4.23%

[상승·하락 종목수] 뉴욕증권거래소: ↑ 1304, ↓ 1412
나스닥: ↑ 2146, ↓ 2336

[주간 상승률] 다우: +1.4%
나스닥: +2.5%
S&P500: +1.7%
S&P 중소형 400: +0.9%
러셀2000: +2.5%

1. 애플 등 메가캡 기업 실적 호조, 대형주 중심 지수 강세
2. 애플, 미국 제조업에 추가 1,000억 달러 투자 발표
3. 미국-인도 무역 마찰 속 애플 영향 제한
4. 기타 블루칩·기술주 실적 엇갈려 개별 종목 변동성 확대
5. 지수 강세 불구, 매크로 이슈 부재로 향후 방향성 불투명
6. 에너지·필수소비재 등 일부 업종 약세, 대형주 쏠림 현상 심화
7. 미국 국채 10년물 입찰 부진, 장단기 금리 혼조세

Go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