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줄시황

Home/한줄시황

[2025-04-25] 대형 기술주 중심 상승 마감

야간선물: 338.40 (+1.00, +0.30%)

다우: 40113.50 (+20.10, 0.05%)
나스닥: 17382.93 (+216.90, 1.26%)
S&P500: 5525.23 (+40.44, 0.74%)
미국채 10년물 금리: 4.27%

뉴욕증권거래소: ↑ 1418, ↓ 1243
나스닥: ↑ 2331, ↓ 1976

다우 YTD: -5.4%
나스닥 YTD: -9.8%
S&P500 YTD: -6.1%
S&P 중소형 400 YTD: -9.3%
러셀2000 YTD: -12.3%

1. 테슬라와 알파벳 등 대형 기술주, 시장 상승 견인
2. 주요 지수 주간 상승률 2.5~6.7% 기록
3. 경기심리 개선, 소비자심리지수 상향 조정
4. 국채 수익률 하락, 시장에 우호적 환경 조성
5. 통신·소비재·기술 섹터 강세

[2025-04-24] 3일 연속 랠리, S&P500 4월 저점 대비 10.1% 상승

야간선물: 337.85 (+4.35, +1.30%)

다우: 40093.40 (+486.83, 1.23%)
나스닥: 17166.03 (+457.99, 2.74%)
S&P500: 5484.79 (+108.91, 2.03%)
미국채 10년물 금리: 4.31%

뉴욕증권거래소: ↑ 2247, ↓ 447
나스닥: ↑ 3371, ↓ 993

다우 YTD: -5.8%
나스닥 YTD: -11.1%
S&P500 YTD: -6.8%
S&P 중소형 400 YTD: -8.9%
러셀2000 YTD: -12.2%

1. 대형 기술주·반도체 중심 강세
2. 단기 매도 청산 및 FOMO 현상
3. 주간 실업수당 청구 건수가 22만 2천 건으로 견조, 국채금리 하락
4. 엇갈린 실적 반응
– IBM(-6.6%), 사우스웨스트 항공(-3.7%), 서비스나우(+15.5%), 텍사스 인스트루먼트(+6.6%)
– 장 마감 후 실적 발표, 구글 상승, 인텔 하락

[2025-04-23] 트럼프 발언 훈풍에 증시 이틀 연속 상승

야간선물: 334.80 (0.00, 0.00%)

다우: 39606.57 (+419.59, 1.07%)
나스닥: 16708.04 (+407.63, 2.50%)
S&P500: 5375.88 (+88.10, 1.67%)
미국채 10년물 금리: 4.39%

뉴욕증권거래소: ↑ 1947, ↓ 672
나스닥: ↑ 3229, ↓ 1140

다우 YTD: -6.9%
나스닥 YTD: -14.5%
S&P500 YTD: -8.6%
S&P 중소형 400 YTD: -10.7%
러셀2000 YTD: -14.0%

1. 트럼프, 파월 의장·중국에 유화 제스처
2. 기술주·대형주 주도 강세
3. 실적 발표 종목 호조, 테슬라·보잉 급등
4. 대부분 업종 상승, IT 섹터 두드러져
5. 채권 시장은 보합세 유지

[2025-04-22] 전날 급락 딛고 증시 급반등

야간선물: 330.55 (+2.00, +0.61%)

다우: 39186.98 (+1016.57, 2.66%)
나스닥: 16300.41 (+429.52, 2.71%)
S&P500: 5287.78 (+129.56, 2.51%)
미국채 10년물 금리: 4.39%

뉴욕증권거래소: ↑ 2528, ↓ 251
나스닥: ↑ 3588, ↓ 814

다우 YTD: -7.6%
나스닥 YTD: -15.6%
S&P500 YTD: -10.1%
S&P 중소형 400 YTD: -11.9%
러셀2000 YTD: -15.2%

1. 과매도에 따른 반발 매수 유입, ‘저가 매수’ 심리 작동
2. 블룸버그 ‘중국, 관세 갈등 완화 기대’ 보도에 낙관론 자극
3. 테슬라 등 대형 기술주 강세, 증시 반등 견인
4. S&P 전 섹터 상승, 금융·소비재 섹터 강세 두드러져
5. 미 국채금리 하락·달러 강세, 전날 급락 요인 일부 해소

[2025-04-21] 미중 갈등과 연준 독립성 위협에 증시 급락

야간선물: 휴장

다우: 38170.41 (-971.82, -2.48%)
나스닥: 15870.89 (-415.55, -2.55%)
S&P500: 5158.22 (-124.50, -2.36%)
미국채 10년물 금리: 4.41%

뉴욕증권거래소: ↑ 413, ↓ 2314
나스닥: ↑ 1222, ↓ 3166

다우 YTD: -10.3%
나스닥 YTD: -17.8%
S&P500 YTD: -12.3%
S&P 중소형 400 YTD: -14.1%
러셀2000 YTD: -17.5%

1. 미중 무역 긴장 고조
– 중국, 자국에 불리한 미국과의 무역협정에 동참하는 국가들에 대해 보복 가능성 경고

2. 트럼프, 파월 의장 해임 검토설
– 중앙은행의 독립성에 대한 우려 확산

3. 기술주 중심으로 투자심리 위축
– 엔비디아, 테슬라, 마이크로소프트 등 대형 기술주 크게 하락
– 나스닥 2.6%, S&P500 2.4% 급락

4. 위험자산 회피 심리 확산
– 장기채 금리 상승, 달러 약세
– 10년물 국채 수익률 4.41%로 상승, 달러지수는 1.1% 하락

[2025-04-17] 다우 하락, 대형 기술주 반등

야간선물: 326.80 (+0.45, +0.14%)

다우: 39142.23 (-527.16, -1.33%)
나스닥: 16286.44 (-20.71, -0.13%)
S&P500: 5282.72 (+7.00, 0.13%)
미국채 10년물 금리: 4.33%

뉴욕증권거래소: ↑ 1998, ↓ 634
나스닥: ↑ 2895, ↓ 1428

다우 YTD: -8.0%%
나스닥 YTD: -15.7%
S&P500 YTD: -10.2%
S&P 중소형 400 YTD: -12.1%
러셀2000 YTD: -15.7%

1. 다우지수, 유나이티드헬스 충격에 하락
– 유나이티드헬스, 부진한 실적과 연간 이익 전망 하향으로 22% 넘게 급락
– 가격가중 방식인 다우지수에 큰 타격

2. S&P500·나스닥 혼조세, 대형주 반등
– S&P500은 0.1% 소폭 상승, 나스닥은 0.1% 하락으로 혼조
– 대만 TSMC 등 일부 대형주가 지수 방어에 기여

3. 트럼프 “무역협상 잘 되고 있다”
– 트럼프, 무역협상에 대해 긍정적 언급
– 투자심리 일부 개선, 매수세 유입

4. 시장 전반 긍정적 흐름 유지, 중소형주 강세

[2025-04-16] 파월·칩 수출 규제·관세 우려 ‘삼중고’에 기술주 급락

야간선물: 321.45 (-2.40, -0.74%)

다우: 39669.39 (-699.57, -1.73%)
나스닥: 16307.15 (-516.01, -3.07%)
S&P500: 5275.72 (-120.91, -2.24%)
미국채 10년물 금리: 4.28%

뉴욕증권거래소: ↑ 1001, ↓ 1654
나스닥: ↑ 1456, ↓ 2883

다우 YTD: -6.8%%
나스닥 YTD: -15.6%
S&P500 YTD: -10.3%
S&P 중소형 400 YTD: -12.8%
러셀2000 YTD: -16.4%

1. 엔비디아·AMD, 대중 수출 규제 충격
– 엔비디아는 H20 AI 칩 대중 수출 제한으로 1분기 최대 55억 달러의 손실을 예고하며 6.9% 급락
– AMD도 8억 달러 손실 전망을 발표하며 동반 하락
– H20 칩은 중국 시장에 맞춰 설계됐으나, 이번 조치로 중국 매출이 사실상 거의 사라질 것으로 분석

2. 연준 파월 의장, Fed Put 부정 및 성장 우려 표명
– 올해 연준의 이중 목표(고용·물가) 진전이 없을 것으로 전망, 시장의 금리 인하 기대 일축
– Fed Put(시장 하락 시 연준 개입)도 없다고 밝혀 투자심리에 추가 부담

3. 관세 우려, 투자심리 위축
– 미중 무역갈등 심화와 추가 관세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지속되며, 기업과 투자자 모두 불확실성에 노출
– 최근 소매판매 호조는 관세 영향으로 인한 선행 구매로 데이터가 부풀려졌을 가능성 제기됨

4. 기술·반도체주 중심의 매도세, 주요 지수 급락

[2025-04-15] 미·EU 무역갈등 속 은행 실적 호조에도 소폭 하락

야간선물: 328.70 (+0.15, +0.05%)

다우: 40524.79 (+312.08, 0.78%)
나스닥: 16831.48 (+107.03, 0.64%)
S&P500: 5405.97 (+42.61, 0.79%)
미국채 10년물 금리: 4.33%

뉴욕증권거래소: ↑ 1487, ↓ 1190
나스닥: ↑ 2375, ↓ 1973

다우 YTD: -5.1%%
나스닥 YTD: -12.9%
S&P500 YTD: -8.3%
S&P 중소형 400 YTD: -11.8%
러셀2000 YTD: -15.6%

1. 관세 관련 뉴스에 시장 변동성 지속
– 트럼프, 자동차 관세 조정 언급
– 블룸버그 보도, EU-미국 무역 협상 진전 부족 부각
– 상무부의 반도체 및 제약 산업 Section 232 조사 개시로 관세 우려 확대
– 투자자들이 관세 영향을 저울질하며 주요 지수의 등락 제한

2. 은행 실적 호조로 긍정적 반응
– BOA(+3.6%)와 씨티그룹(+1.8%) 실적 발표는 시장에 긍정적 영향

3. 기술주 강세, 소비재 약세
– 기술 섹터 0.3% 상승하며 S&P500 내 선두
– 반면, 소비재 섹터는 0.8% 하락하며 최하위
– 주요 섹터들의 움직임 제한적

4. 채권시장 강세로 주식시장 지지
– 국채 매수세 지속되며 금리 하락
– 10년물 국채 금리 3bp 하락(4.33%)

[2025-04-14] 관세 완화 소식과 금융주 견인에 상승 마감

야간선물: 326.70 (+1.00, +0.31%)

다우: 40524.79 (+312.08, 0.78%)
나스닥: 16831.48 (+107.03, 0.64%)
S&P500: 5405.97 (+42.61, 0.79%)
미국채 10년물 금리: 4.36%

뉴욕증권거래소: ↑ 2134, ↓ 548
나스닥: ↑ 3168, ↓ 1226

다우 YTD: -4.8%%
나스닥 YTD: -12.8%
S&P500 YTD: -8.1%
S&P 중소형 400 YTD: -11.7%
러셀2000 YTD: -15.7%

1. 트럼프 관세 면제 소식에 투자심리 개선
스마트폰, 노트북, 반도체, 태양광 셀 등 전자 제품이 글로벌 10% 상호 관세 대상에서 제외되며 시장에 긍정적 영향
그러나 중국산 수입품은 여전히 20% 펜타닐 관련 관세 적용
상무장관 루트닉, 면제가 “일시적”이라며 반도체 추가 관세 발표 예고

2. 대형 기술주가 변동성 장세 주도
엔비디아 등의 주가 변동성이 시장 흐름 좌우
엔비디아는 장중 최대 3.0% 상승 후 반락하여 0.2% 하락 마감

3. 금융주 실적 호조로 금융 섹터 강세
골드만 삭스의 양호한 실적 발표로 금융 섹터 1.9% 상승

4. 금리 민감 섹터, 금리 하락에 동반 강세
10년물 국채 금리 13bp 하락(4.36%)

5. 경제 지표 부재 속 ECB 금리 인하 기대 부각
이번 주 미국 경제 지표 부재 속 ECB 회의에서 25bp 금리 인하 가능성 주목

[2025-04-11] 불안 속 반등 성공

1. 중국의 보복 관세와 달러 약세
– 중국, 미국산 수입품에 125% 보복 관세 발표하며 무역 긴장 고조
– 달러 약세로 외국인 자금 이탈 우려 확산

2. 인플레 기대감과 국채금리 급등
– 미시간대 소비자심리지수, 1981년 이후 최고인 인플레이션 기대치(6.7%)
– 10년물 국채금리 4.58%까지 상승 후 4.49%로 안정화

3. 금융주 실적 호조 속 일부 금융주는 하락

4. 대형 기술주 주도 상승
– 장 초반 하락세에서 반등, 대형 기술주가 시장 상승 견인
– 러셀2000(-1.6% → +1.6%) 등 중소형주도 회복

5. 트럼프·연준의 시장 안정화 신호
– 백악관, 미·중 협상 가능성 재확인
– FT 보도, 연준의 금융시장 안정화 준비 언급으로 투자심리 개선

6. 광범위한 섹터 상승
– S&P500 모든 섹터가 1.1% 이상 상승
– 소재(+3.0%), IT(+2.6%), 에너지(+2.5%) 등 하락폭이 컸던 섹터가 강세

Go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