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줄시황

Home/한줄시황

[2024-10-16] 지수 반등

다우: +0.79%
나스닥: +0.28%
S&P500: +0.47%
미국채 10년물 수익률(금리): 4.02%

뉴욕증권거래소: 상승종목 2107개, 하락종목 641개
나스닥: 상승종목 3105개, 하락종목 1138개

긍정적인 은행 및 항공사 실적, 국채 수익률 하락, Nvidia 및 브로드컴 반등으로 지수 상승
러셀2000이 1.6% 상승하며 최근 강세를 이어갔고, S&P500, 나스닥, 다우 지수 모두 견고한 상승세로 마감
뉴욕증권거래소와 나스닥에서 상승 종목이 하락 종목을 각각 4대 1, 3대 1 비율로 앞서며, 전반적으로 주식 상승

[2024-10-15] 지수 전반적인 하락

다우: -0.75%
나스닥: -1.01%
S&P500: -0.76%
미국채 10년물 수익률(금리): 4.04%

뉴욕증권거래소: 상승종목 1335개, 하락종목 1325개
나스닥: 상승종목 2089개, 하락종목 2159개

러셀2000(+0.1% 상승)을 제외한 주요 지수 모두 하락
바이든 행정부의 AI 칩 판매 제한 검토 소식과 ASML의 실적 부진으로 반도체 관련 주 약세
ASML의 부진한 실적은 비AI 관련 반도체 시장의 회복 지연을 반영,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5.3% 급락
UnitedHealth 가이던스 하향 소식으로 다우 지수와 헬스케어 섹터 하락
넷플릭스, 아메리칸 익스프레스, 모건스탠리 등이 이번 주 실적 발표 예정
인플레이션 우려가 줄어들며 채권 수익률 하락, 연준의 금리 인하 가능성 높아짐

[2024-10-14] S&P500, 다우 지수 상승세 연장

다우: +0.47%
나스닥: +0.87%
S&P500: +0.77%
미국채 10년물 수익률(금리): 4.07%

뉴욕증권거래소: 상승종목 1604개, 하락종목 1113개
나스닥: 상승종목 2405개, 하락종목 1849개

S&P500, 다우지수가 신기록을 세웠지만, 낮은 거래량과 국채 시장 휴장으로 상승의 의미가 다소 퇴색
NVIDIA와 Apple의 상승이 기술주와 대형주의 강세를 이끔
에너지 섹터 하락

[2024-10-11] 주간 상승 마감

다우: +0.97%
나스닥: +0.33%
S&P500: +0.61%
미국채 10년물 수익률(금리): 4.07%

뉴욕증권거래소: 상승종목 2167개, 하락종목 556개
나스닥: 상승종목 3073개, 하락종목 1154개

S&P500, 다우지수가 사상 최고가 경신하며 상승 마감
테슬라, 로보택시 실망으로 8.8% 급락
JP모건, 웰스파고 등 실적 호조로 금융주 강세
9월 생산자 물가지수(PPI), 연준이 금리 인하를 중단하지 않을 것이라는 기대 강화
국채 금리는 소폭 하락하며 차분

[2024-10-10] 혼조된 경제 지표로 인한 주식 시장 제한적인 약세

다우: -0.14%
나스닥: -0.05%
S&P500: -0.21%
미국채 10년물 수익률(금리): 4.10%

뉴욕증권거래소: 상승종목 1098개, 하락종목 1583개
나스닥: 상승종목 1708개, 하락종목 2525개

기대보다 높은 소비자 물가 지수
실업수당 청구 건수 증가
연준이 11월 FOMC에서 25bp 금리 인하를 할 가능성이 여전히 82.9%로 유지됨
10년물 국채 수익률은 4.10%로 소폭 상승
WTI 유가 3.5% 상승

[2024-10-09] S&P500, 다우 고점 경신

다우: +1.03%
나스닥: +0.60%
S&P500: +0.71%
미국채 10년물 수익률(금리): 4.06%

뉴욕증권거래소: 상승종목 1556개, 하락종목 1164개
나스닥: 상승종목 2127개, 하락종목 2054개

어제의 반등에 이어 모멘텀이 이어졌고, 주요 기술주와 반도체 관련 종목들의 강세가 주도
미 법무부의 구글 해체 검토 소식에 알파벳 주가 1.6% 하락
다우 지수 구성 30개 종목 중 28개 상승 마감
국채 수익률 상승
9월 17~18일 FOMC 회의록에서 인플레이션 상승 위험은 줄어들고, 고용 하락 위험은 증가했다고 언급했으나 시장 반응은 크지 않았음
중동 상황과 허리케인 밀턴에 대한 우려가 남아 있었으나, 시장은 크게 신경 쓰지 않는 모습

[2024-10-08] 시장 매수세 유입으로 상승 마감

다우: +0.30%
나스닥: +1.45
S&P500: +0.97%
미국채 10년물 수익률(금리): 4.03%

뉴욕증권거래소: 상승종목 1426개, 하락종목 1316개
나스닥: 상승종목 1995개, 하락종목 2213개

대형 기술주와 반도체 섹터의 주도로 주요 지수 상승
칩 수요 증가 소식에 힘입어 NVIDIA 4.1% 상승, PHLX 반도체 지수 1.3% 상승
국채 수익률은 대체로 안정세를 보임
WTI 유가 4.5% 하락으로 주가 상승 견인

[2024-10-07] 주요 지수 하락 마감

다우: -0.94%
나스닥: -1.18%
S&P500: -0.96%
미국채 10년물 수익률(금리): 4.03%

뉴욕증권거래소: 상승종목 730개, 하락종목 2026개
나스닥: 상승종목 1301개, 하락종목 2952개

대형주와 반도체 섹터가 하락하며 오후에 매도세 가속화
애플과 아마존은 각각 2.3%, 3.0% 하락하며 신용등급 하향 조정의 영향을 받음
지정학적 우려와 허리케인 밀턴의 영향으로 유가 상승
금리 상승 압박

[2024-10-04] 고용 보고서 발표 후 주식 시장 강세 마감

다우: +0.81%
나스닥: +1.22%
S&P500: +0.90%
미국채 10년물 수익률(금리): 3.98%

뉴욕증권거래소: 상승종목 1731개, 하락종목 1015개
나스닥: 상승종목 2911개, 하락종목 1279개

9월 고용 보고서에서 예상보다 강한 고용 증가, 실업률 하락, 임금 상승이 확인되며, 시장의 연착륙 기대감 강화
국채 수익률 급등, 주식 시장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음
반도체 및 메가캡 주도 상승

[개인의견] 고용 보고서 결과로 인해 시장이 상승했다는 분석이 많지만, 중국에 이어 일본도 돈을 인쇄하기로 했다. 다음 12개월 동안 중국과 일본이 선두를 달리는 가운데 미국 및 전 세계적으로 또 다른 통화 확장 단계에 돌입할 것이다. 유동성이 더 많아지면 위험 자산으로 돈이 더 많이 흘러 들어간다. 이런 상황에서 고용 보고서 결과나 지정학적 리스크 등은 별 관심 사항이 아니다. 인플레이션이 다시 전면에 나타날 때 까지 롱이 주도하는 시장이 될 것이다.

[2024-10-03] 주요 지수 혼조세로 마감

다우: -0.44%
나스닥: -0.04%
S&P500: -0.17%
미국채 10년물 수익률(금리): 3.85%

뉴욕증권거래소: 상승종목 958개, 하락종목 1772개
나스닥: 상승종목 1384개, 하락종목 2805개

금요일 고용 보고서를 앞둔 관망세와 지정학적 우려
유가 급등(+5.0%)
국채 수익률 상승
CEO의 긍정적인 수요 전망으로 NVIDIA가 3.4% 상승하며 반도체 섹터가 0.5% 상승
소비재 섹터 약세

Go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