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줄시황

Home/한줄시황

[2025-09-30] 소비자신뢰지수 하락에 금리 인하 기대 강화, 헬스케어·기술주 상승 주도

야간선물: 477.40 (+1.55, +0.33%)

다우: 46397.68 (+81.82, 0.18%)
나스닥: 22660.02 (+68.86, 0.30%)
S&P500: 6688.45 (+27.25, 0.41%)
미국채 10년물 금리: 4.15%

【상승·하락 종목수】
뉴욕증권거래소: ↑ 1453, ↓ 1302
나스닥: ↑ 2264, ↓ 2352

【연간 상승률】
다우: +9.1%
나스닥: +17.3%
S&P500: +13.7%
S&P 중소형 400: +4.6%
러셀2000: +9.3%

1. S&P500·나스닥·다우 상승 마감, 9월과·3분기 모두 견조한 성과
2. 헬스케어 섹터 2.5% 급등
3. 정보기술 섹터 0.9% 상승, 3분기 누적 +13.0%로 최고 실적
4. NVIDIA 사상 최고가 경신, 반도체지수 0.9% 상승
5. 유가 1.8% 하락, OPEC+ 증산 전망 지속
6. 중소형주 상대적 약세
7. 9월 소비자신뢰지수 94.2로 하락, 금리 인하 기대 강화
8. 10월 인하 확률 96.7%, 12월 인하 확률 77.7%로 상승
9. 연준 인사, 고용·물가 전망 엇갈려
10. 정부 셧다운 임박, 예산안 합의 실패 시 주요 통계 발표 중단 우려

[2025-09-29] 정부 셧다운 우려에도 미 증시 소폭 상승, 대형 기술주 강세 둔화

야간선물: 476.55 (-0.50, -0.10%)

다우: 46315.86 (+68.78, 0.15%)
나스닥: 22591.16 (+107.09, 0.48%)
S&P500: 6661.20 (+17.51, 0.26%)
미국채 10년물 금리: 4.14%

【상승·하락 종목수】
뉴욕증권거래소: ↑ 1337, ↓ 1405
나스닥: ↑ 2505, ↓ 2131

【연간 상승률】
다우: +8.9%
나스닥: +17.0%
S&P500: +13.3%
S&P 중소형 400: +4.5%
러셀2000: +9.2%

1. S&P500·나스닥·다우 상승 마감, 장중 고점 대비 상승폭 축소
2. 대형 기술주 초반 강세 후 약화
3. 반도체주 장초 강세 후 후퇴
4. 시장 수급 혼조, 뉴욕증권거래소 하락주 우세, 나스닥 상승주 근소 우위
5. 정부 셧다운 우려 지속, 상원 단기 예산안 협상 중
6. 셧다운 시 노동부 통계 발표 중단, 고용보고서 지연 가능성
7. 금리 인하 기대 변화 없음

[2025-09-26] 3일 연속 하락세 끊고 반등

야간선물: 472.60 (+3.20, +0.68%)

다우: 46247.08 (+299.97, 0.65%)
나스닥: 22484.07 (+99.37, 0.44%)
S&P500: 6643.69 (+38.98, 0.59%)
미국채 10년물 금리: 4.18%

【상승·하락 종목수】
뉴욕증권거래소: ↑ 1830, ↓ 840
나스닥: ↑ 2870, ↓ 1690

【연간 상승률】
다우: +8.7%
나스닥: +16.4%
S&P500: +13.0%
S&P 중소형 400: +4.7%
러셀2000: +9.2%

1. S&P500·나스닥·다우 상승 마감
2. 8월 개인소득·소비 지표 모두 예상치 상회, 경기 회복세 확인
3. PCE 물가지수 전월 대비 +0.3%, 근원 PCE +0.2%, 인플레이션 우려 완화
4. 신규 관세 발표, 10월 1일부터 의약품·가구·트럭 등 수입품 대상
5. 대형 기술주 약세 지속, 엔비디아·마이크로소프트 오후 반등
6. 인텔 4.4% 상승, 애플 투자 기대감 반영, 7월 중순 이후 최고치
7. 테슬라 4% 상승, 소비재 섹터 +1.5%, 섹터별 상승폭 확대

[2025-09-25] 금리 인하 기대 약화에 미 증시 하락

야간선물: 478.55 (-2.55, -0.53%)

다우: 45947.11 (-173.96, -0.38%)
나스닥: 22384.70 (-113.16, -0.50%)
S&P500: 6604.71 (-33.25, -0.50%)
미국채 10년물 금리: 4.17%

【상승·하락 종목수】
뉴욕증권거래소: ↑ 734, ↓ 2010
나스닥: ↑ 1140, ↓ 3462

【연간 상승률】
다우: +8.0%
나스닥: +16.0%
S&P500: +12.3%
S&P 중소형 400: +3.6%
러셀2000: +8.1%

1. S&P500·나스닥·다우, 3거래일 연속 하락
2. 실업수당 청구 등 경제지표 강세, 금리 인하 기대 후퇴
3. 연준 인사 발언 엇갈려, 슈미트 ‘정책 적절’, 미란 ‘추가 인하 필요’
4. 대형 기술주 약세 지속, 오라클 5.6% 하락, 아마존·테슬라도 하락
5. 인텔 8.9% 급등, 애플 투자 기대감 반영, 애플·엔비디아도 상승 전환
6. 에너지 섹터 0.9% 상승, 정유주 반등, 이번 주 3.7% 상승에도 월간 기준은 부진
7. 헬스케어·소비재·소재 섹터 하락폭 확대, 각각 1% 이상 하락
8. 중소형주도 약세
9. 내일 발표될 PCE 물가지표, 금리 인하 기대의 향방 가를 핵심 변수로 주목

[2025-09-24] 파월 발언 여진 속 대형주 약세

야간선물: 478.55 (-2.50, -0.52%)

다우: 46121.07 (-171.50, -0.37%)
나스닥: 22497.86 (-75.62, -0.33%)
S&P500: 6637.96 (-18.95, -0.28%)
미국채 10년물 금리: 4.15%

【상승·하락 종목수】
뉴욕증권거래소: ↑ 1740, ↓ 1016
나스닥: ↑ 1951, ↓ 2654

【연간 상승률】
다우: +8.4%
나스닥: +16.5%
S&P500: +12.9%
S&P 중소형 400: +4.3%
러셀2000: +9.2%

1. S&P500·나스닥·다우, 모두 하락 마감, 고점 경신 멈춰
2. 대형 기술주 약세, 시장 전반 매도세로 확산
3. 파월 의장 ‘주가 고평가’ 발언 여파 지속
4. 오라클·마이크론 실적 발표에도 하락, AI 인프라 발표 반응은 제한적
5. 인텔, 애플 투자 추진 보도에 6.4% 급등, 반도체 지수 낙폭 축소
6. 테슬라 4% 상승
7. 유가 2.5% 상승
8. 시카고 연은 총재 발언, 경기침체 없을 것이며 추가적인 금리 인하 신중해야
9. 금리 인하 기대 유지, 금요일 PCE 물가지표가 다음 방향성 결정할 듯

[2025-09-23] 파월의 주가 고평가 발언에 S&P·나스닥 하락 마감

야간선물: 481.75 (+2.90, +0.61%)

다우: 46292.78 (-88.76, -0.19%)
나스닥: 22573.47 (-215.51, -0.95%)
S&P500: 6656.92 (-36.83, -0.55%)
미국채 10년물 금리: 4.11%

【상승·하락 종목수】
뉴욕증권거래소: ↑ 1262, ↓ 1458
나스닥: ↑ 1747, ↓ 2841

【연간 상승률】
다우: +8.8%
나스닥: +16.9%
S&P500: +13.2%
S&P 중소형 400: +5.1%
러셀2000: +10.2%

1. 다우, 장중 사상 최고치 경신 후 하락 전환
2. 나스닥 1.0% 하락, 대형 기술주 약세
3. 엔비디아, 오픈AI 1,000억 달러 투자 발표 후 하루 만에 2.8% 하락, 투자 구조·에너지 수요 우려 제기
4. 오라클 4.3% 하락, 전일 급등분 대부분 반납
5. 아마존·테슬라 하락, 소비재 섹터 S&P500 내 최약세
6. 메가캡 ETF 1.1% 하락, 동등가중 S&P 500은 0.1% 상승
7. 중소형주 상대적 선방, 러셀2000 -0.3%, MidCap 400 -0.1%
8. 파월 의장 “주가 고평가” 발언, 시장에 부담으로 작용
9. 역사적 랠리 속 밸류에이션 우려 부각

[2025-09-22] 계속되는 기술주 강세에 S&P·나스닥 사상 최고치 경신

야간선물: 481.75 (+2.90, +0.61%)

다우: 46381.33 (+66.27, 0.14%)
나스닥: 22788.98 (+157.50, 0.70%)
S&P500: 6693.74 (+29.39, 0.44%)
미국채 10년물 금리: 4.15%

【상승·하락 종목수】
뉴욕증권거래소: ↑ 1375, ↓ 1364
나스닥: ↑ 2660, ↓ 1962

【연간 상승률】
다우: +9.0%
나스닥: +18.0%
S&P500: +13.8%
S&P 중소형 400: +5.1%
러셀2000: +10.5%

1. S&P500·나스닥·다우, 장중·종가 모두 사상 최고치 기록
2. 장 초반 약세에 매수세 유입
3. 오라클, 틱톡 보안 파트너 선정 소식에 6.3% 급등
4. 엔비디아, 오픈AI 차세대 AI 인프라 협력 발표 후 4% 상승
5. 애플, 아이폰 17 글로벌 수요 호조에 4.3% 상승
6. 반도체 지수 1.6% 상승, IT 섹터 1.7% 상승
7. 메타·알파벳 하락, 메가캡 ETF 상승폭 제한
8. 연준 위원 발언 엇갈려
9. 금요일 PCE 물가지표 발표 대기

[2025-09-19] 메가캡 강세에 S&P·나스닥·다우 사상 최고치, 중소형주는 약세

야간선물: 476.60 (+1.90, +0.40%)

다우: 46315.06 (+172.85, 0.37%)
나스닥: 22631.48 (+160.75, 0.72%)
S&P500: 6664.35 (+32.40, 0.49%)
미국채 10년물 금리: 4.13%

【상승·하락 종목수】
뉴욕증권거래소: ↑ 936, ↓ 1797
나스닥: ↑ 1908, ↓ 2692

【연간 상승률】
다우: +8.9%
나스닥: +17.2%
S&P500: +13.3%
S&P 중소형 400: +5.2%
러셀2000: +9.8%

1. S&P500·나스닥·다우, 장중·종가 모두 사상 최고치 경신
2. 러셀2000은 전일 상승분 일부 반납
3. 애플, 아이폰 17 수요 호조·저가 모델 생산 확대 소식에 3.2% 상승
4. 경제지표 부재 속 추가 금리 인하 기대 유지

[2025-09-18] 추가 금리 인하 기대에 사상 최고치 경신

야간선물: 476.85 (+0.90, +0.19%)

다우: 46142.21 (+124.10, 0.27%)
나스닥: 22470.73 (+209.40, 0.94%)
S&P500: 6631.95 (+31.61, 0.48%)
미국채 10년물 금리: 4.11%

【상승·하락 종목수】
뉴욕증권거래소: ↑ 1787, ↓ 951
나스닥: ↑ 3270, ↓ 1317

【연간 상승률】
다우: +8.5%
나스닥: +16.4%
S&P500: +12.8%
S&P 중소형 400: +6.0%
러셀2000: +10.7%

1. S&P500·나스닥·다우, 장중·종가 모두 사상 최고치 경신
2. 러셀2000, 2021년 이후 최고치 돌파
3. 10월·12월 25bp 금리 인하 확률 각각 91.9%, 82.3%로 상승
4. 엔비디아 50일선 회복, 인텔은 엔비디아의 50억 달러 지분 투자 소식에 28.8% 급등
5.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3.6% 상승, IT 섹터 1.3% 상승
6. 대형주·중소형주 동반 강세, 상승 종목이 하락 종목 2:1 비율로 우세
7. 신규 실업수당 청구 감소, 필라델피아 연은 제조업 지수 급등

[2025-09-17] 연준 25bp 금리 인하, 메가캡 약세에 혼조 마감

야간선물: 469.45 (+1.15, +0.25%)

다우: 46018.11 (+260.42, 0.57%)
나스닥: 22261.33 (-72.63, -0.33%)
S&P500: 6600.34 (-6.42, -0.10%)
미국채 10년물 금리: 4.09%

【상승·하락 종목수】
뉴욕증권거래소: ↑ 1369, ↓ 1358
나스닥: ↑ 2172, ↓ 2409

【연간 상승률】
다우: +8.2%
나스닥: +15.3%
S&P500: +12.2%
S&P 중소형 400: +4.7%
러셀2000: +8.0%

1. 연준, 기준금리 0.25%p 인하, 연내 추가 인하 횟수 의견 엇갈려
2. 10월·12월 금리 인하 확률 상승, 2026년 인하 전망은 축소
3. 다우 장중 사상 최고치 경신, 나스닥·S&P500도 고점 근접 후 하락
4. 메가캡 약세, 엔비디아 중국 판매 중단 보도에 2.6% 하락
5. 대형주 ETF 하락, 동일가중 S&P500은 소폭 상승

Go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