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줄시황

Home/한줄시황

[2023-11-30] 정말 물가가 잡혔나?

요즘 미국의 각종 지표를 근거로 물가가 잡혀가고 있으니 금융정책을 완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많다.

’22 10월에 7.7% 상승, ’23 10월에 3.1% 상승
2년 동안 물가는 11% (1.031*1.077) 올랐는데 지표로 말장난을 하는 것이다.

물가를 잡으려는 이유는 구매력 약화 -> 투자 부진 -> 경제 불안과 불확실성 증가 -> 실업률 상승 -> 경제 침체 초래의 고리를 끊어내기 위해서인데 지표로 말장난한다고 11% 오른 물가를 체험하는 소비자들의 참여를 유도하는데 도움이 되지 않는다.

역사적으로 경기침체가 약한 고리에서 전파되지 않은 경우가 있던가?

월가, 기업가, 투자자 등 소수의 이익을 위한 긴축 중지는 테이블에서 제외하기를 일개 소비자로서 바란다.

[2023-11-23] 기대 인플레이션

클리블랜드 연준의 10년 기대 인플레이션으로 국채 수익률, 인플레이션 데이터, 인플레이션 스왑, 설문조사에 기반하여 매달 발표한다. 지난 6월을 저점으로 5개월째 상승하고 있다.

이미지 출처: 클리블랜드 연방 준비 은행

[2023-11-19] 샘 알트만의 티그리스(Tigris)

AI와 기술주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은 샘 알트만(Sam Altman)에 대한 주말 기사를 접했을 것이다. 이사회의 결정으로 예상치 못하게 OpenAI의 CEO에서 해고가 되었다는 소식. 그런데 그것보다 더 중요해 보이는 것은 샘 알트만이 Nvidia에 대항할 AI 반도체 벤처 설립을 추진하고 있었다는 소식이다. 이름하여 티그리스 프로젝트. AI와 기술 산업에 대한 잠재적 영향이 상당할 것으로 예상된다.

[2023-11-19] 실질 M2 통화량

인플레이션의 영향을 배제하고 통화의 실질적인 가치를 반영하는 이 지표에 의하면 시장에서 유동성이 감소하고 있다. 원인으로는 중앙은행 정책, 금융시장 불안정성, 또는 신용경색을 들 수 있다.

이미지 출처: 세인트루이스 연방 준비 은행

[2023-11-19] Nasdaq 100 vs Russell 2000

닷컴 버블 때 나스닥 100/러셀 2000 비율은 8.1을 기록했다. 이는 기술주가 소형주보다 8.1배 더 비싸다는 것을 의미한다. 오늘날 기술주는 Russell 2000보다 8.2배 더 비싸다.

이미지 출처: Porter & Co. 리서치

2023년 11월 17일 (금)

[미국] 미국의 추수감사절 주간에는 거래량은 줄고 변동성은 커지는 경향이 있다. 기술주가 과매수인 상태에서 Nvidia의 실적발표는 위든 아래든 브레이크아웃 형태의 움직임을 촉발할 가능성이 높다. 지난 10년 동안 S&P 500 지수는 추수감사절 주간에 여덟 번은 평균 0.92% 상승을 했다. 단, 하락을 보인 2018년에는 -3.80%, 2021년에는 -2.19%로 하락률이 상당했다.

Go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