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줄시황

Home/한줄시황

[2025-08-05] 증시 혼조 속 소형주 강세, 금리 인하 기대감과 경기 우려 교차

야간선물: 429.95 (-1.80, -0.42%)

다우: 44111.74 (-61.90, -0.14%)
나스닥: 20915.17 (-137.03, -0.65%)
S&P500: 6299.19 (-30.75, -0.49%)
미국채 10년물 금리: 4.22%

뉴욕증권거래소: ↑ 1538, ↓ 1170
나스닥: ↑ 2174, ↓ 2303

다우 YTD: +3.7%
나스닥 YTD: +8.3%
S&P500 YTD: +7.1%
S&P 중소형 400 YTD: +0.7%
러셀2000 YTD: -0.2%

1. 7월 ISM 서비스 PMI, 경기 위축 경계선 근접
2. 주요 지수, 장 초반 상승분 반납하며 약세 전환
3. 9월 25bp 금리 인하 기대감 확대 및 연준 인사 변화 가능성
4. 트럼프, 반도체·제약 관세 별도 계획 발표 예고
5. 팔란티어 실적 호조에도 반도체 업종 부진 지속

[2025-08-04] 대형 기술주 주도 반등에 강세

야간선물: 428.70 (+3.20, +0.75%)

다우: 44173.64 (+585.06, 1.34%)
나스닥: 21052.20 (+403.45, 1.95%)
S&P500: 6329.94 (+91.93, 1.47%)
미국채 10년물 금리: 4.20%

뉴욕증권거래소: ↑ 2245, ↓ 500
나스닥: ↑ 3447, ↓ 1095

다우 YTD: +3.8%
나스닥 YTD: +9.0%
S&P500 YTD: +7.6%
S&P 중소형 400 YTD: +0.7%
러셀2000 YTD: -0.8%

1. 대형 기술주 강세
2. 저가 매수 심리 확산, 장 초반부터 매수세 압도
3. 10개 S&P500 업종 상승, 통신·IT·헬스케어 강한 탄력
4. 테슬라 호재·아마존 약세, 소비재 업종 희비 엇갈려
5. 중소형주 러셀2000 강세, 시장 전반 매수심리 확산
6. 유가는 OPEC+ 증산 합의에 하락, 에너지주만 하락세
7. 기업 실적발표 랠리
8. 9월 기준금리 인하 기대 85.5%, 국채 금리도 하락세
9. 이번 주 핵심 이슈 — 무역협상·실적발표 등 재료 주목

[2025-08-01] 대규모 관세 인상·빅테크 실적 부진에 하락 마감

야간선물: 419.40 (-1.00, -0.24%)

다우: 43588.58 (-542.40, -1.23%)
나스닥: 20648.75 (-472.32, -2.24%)
S&P500: 6238.01 (-101.38, -1.60%)
미국채 10년물 금리: 4.22%

뉴욕증권거래소: ↑ 836, ↓ 1913
나스닥: ↑ 1189, ↓ 3329

다우 YTD: +2.5%
나스닥 YTD: +6.9%
S&P500 YTD: +6.0%
S&P 중소형 400 YTD: -0.5%
러셀2000 YTD: -2.8%

1. 글로벌 관세 인상 발표에 따른 시장 급락
2. 애플·아마존 등 주요 빅테크 실적 발표 후 주가 약세
3. 7월 고용·제조업 등 경제지표 부진
4. 위험 회피 심리 확산, 방어주 강세
5. 연준 9월 금리인하 기대 급증
6. 연준 이사 사임 등 추가 변수 등장

[2025-07-31] 빅테크 실적 호재에도 변동성 확대 및 하락 마감

1. 메타·마이크로소프트 실적 호조에도 상승폭 반납
2. 신기록 경신 후 전반적 이익실현 매물 출회
3. 퀄컴·ARM 등 반도체 업종 부진,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 급락
4. 헬스케어·부동산·소재 등 주요 업종 약세
5. 피그마 IPO, 개장 직후 폭등 속 거래 중단
6. 관세 등 대외 변수가 시장 불확실성 자극
7. 경제지표, 연준 추가 긴축 판단 유보 분위기
8. 고점 부담과 조정 우려에 VIX 급등

[2025-07-30] FOMC 여파에 증시 하락 전환

야간선물: 439.55 (-0.40, -0.09%)

다우: 44461.28 (-171.71, -0.38%)
나스닥: 21128.30 (+31.38, 0.15%)
S&P500: 6362.90 (-7.96, -0.12%)
미국채 10년물 금리: 4.38%

뉴욕증권거래소: ↑ 1390, ↓ 1342
나스닥: ↑ 1458, ↓ 3047

다우 YTD: +4.5%
나스닥 YTD: +9.4%
S&P500 YTD: +8.2%
S&P 중소형 400 YTD: +2.1%
러셀2000 YTD: +0.1%

1. FOMC, 기준금리 동결, 2명 이례적으로 인하 소수의견
2. 파월 발언에 9월 금리 인하 기대 급감
3. 증시, 금리 인하 기대 후퇴에 하락 반전
4. 업종별 혼조세, 유틸리티·기술주 선방, 소재·에너지 약세
5. 미 국채 수익률 상승, 10년물 4.38% 도달
6. GDP·고용지표 호조, 연준 추가 인하 지연 명분 제공
7. 마감 후 실적 발표 앞둔 MSFT·META, 반등 계기 될지 주목

[2025-07-29] 장중 사상 최고가 경신 후 매도세에 하락 마감

야간선물: 431.65 (-1.00, -0.23%)

다우: 44632.99 (-204.57, -0.46%)
나스닥: 21096.92 (-80.29, -0.38%)
S&P500: 6370.86 (-18.91, -0.30%)
미국채 10년물 금리: 4.33%

뉴욕증권거래소: ↑ 1390, ↓ 1342
나스닥: ↑ 1458, ↓ 3047

다우 YTD: +4.9%
나스닥 YTD: +9.3%
S&P500 YTD: +8.3%
S&P 중소형 400 YTD: +2.7%
러셀2000 YTD: +0.6%

1. 장중 기록 경신 후 매도세가 출현하며 주요 지수 하락 전환
2. IT 섹터 장중 상승세에서 0.2% 하락 마감, 반도체 지수는 0.2% 소폭 상승
3. UPS, 유나이티드헬스, 로얄 캐리비안, 뉴코어, 머크 등 주요 블루칩 주가 2% 이상 하락
4. 원유 가격 3.7% 급등, 배럴당 69.22달러 기록
5. 미 국채 가격 강세 및 금리 하락
6. 내일 FOMC 및 2분기 GDP 예비치 발표 대기

[2025-07-28] 유럽과의 무역협상 발표에 S&P500 및 나스닥 최고치 경신

야간선물: 431.65 (-1.00, -0.23%)

다우: 44837.56 (-64.36, -0.14%)
나스닥: 21177.21 (+70.27, 0.33%)
S&P500: 6389.77 (+1.13, 0.02%)
미국채 10년물 금리: 4.42%

뉴욕증권거래소: ↑ 953, ↓ 1782
나스닥: ↑ 1794, ↓ 2744

다우 YTD: +5.4%
나스닥 YTD: +9.7%
S&P500 YTD: +8.6%
S&P 중소형 400 YTD: +2.9%
러셀2000 YTD: +1.2%

1. 15% 관세 부과와 6,000억 달러 투자, 7,500억 달러 에너지 구매가 포함된 미국-유럽 무역협정 발표
2. S&P500과 나스닥 나란히 최고 기록 경신, 다우는 소폭 하락 마감
3. 에너지와 반도체 업종 중심의 강세, 소비재 및 정보기술도 소폭 상승
4. 테슬라-삼성 AI 칩 계약 소식에 테슬라 주가 3% 급등, 아마존도 실적 발표 기대감에 상승
5. 나머지 S&P500 업종은 대부분 하락, 매도세 우세
6. 향후 38% 시가총액 기업실적 발표 대기와 미국-중국 무역협상 재개로 모멘텀 제한
7. 미 국채 10년물 수익률 50일 이동평균선 넘어 상승

[2025-07-25] 사상 최고치 경신, 다음 주 빅테크 실적 앞두고 기대감 고조

야간선물: 431.45 (+0.35, +0.08%)

다우: 44901.92 (+208.01, 0.47%)
나스닥: 21106.94 (+50.36, 0.24%)
S&P500: 6388.64 (+25.29, 0.40%)
미국채 10년물 금리: 4.39%

뉴욕증권거래소: ↑ 1654, ↓ 1074
나스닥: ↑ 2257, ↓ 2203

다우 YTD: +5.5%
나스닥 YTD: +9.3%
S&P500 YTD: +8.6%
S&P 중소형 400 YTD: +3.1%
러셀2000 YTD: +1.4%

1. S&P500·나스닥, 사상 최고치 경신
2. 뚜렷한 재료 없이 실적·무역 협상 기대감에 상승세
3. 소비재·소재·산업 등 업종 전반 강세
4. 중소형주도 반등, 시장 전반 위험선호 유지
5. 국채금리 소폭 등락, 단기물은 보합
6. 다음 주 예정된 주요 빅테크 기업들의 실적 발표를 앞두고 투자자들의 기대감 반영. 실적이 예상치를 상회할 경우 상승 여력 더욱 확대될 전망

[2025-07-24] 대형주 강세 속 S&P500·나스닥 사상 최고치 경신

야간선물: 428.80 (-0.50, -0.12%)

다우: 44693.91 (-316.38, -0.70%)
나스닥: 21056.58 (+37.94, 0.18%)
S&P500: 6363.35 (+4.44, 0.07%)
미국채 10년물 금리: 4.41%

뉴욕증권거래소: ↑ 934, ↓ 1791
나스닥: ↑ 1492, ↓ 3007

다우 YTD: +5.0%
나스닥 YTD: +9.1%
S&P500 YTD: +8.2%
S&P 중소형 400 YTD: +2.2%
러셀2000 YTD: +1.0%

1. Alphabet 등의 실적 호조에 힘입어 주요 지수 사상 최고치 마감
2. 기술주 상승 지속, 반도체주는 부진 이어져
3. 에너지 섹터, 유가 상승에 동반 강세
4. 테슬라, 매출 감소와 향후 실적 경고로 8.2% 급락
5. 중소형주 차익 실현 매물에 약세 전환
6. AI 산업 낙관론 지속, 시장 전반 이끌어

[2025-07-23] 무역 협상 타결 기대감과 실적 호조에 힘입어 S&P500 사상 최고치 경신

야간선물: 433.20 (+2.80, +0.65%)

다우: 45010.29 (+507.85, 1.14%)
나스닥: 21018.64 (+127.33, 0.61%)
S&P500: 6358.91 (+49.29, 0.78%)
미국채 10년물 금리: 4.39%

뉴욕증권거래소: ↑ 1855, ↓ 879
나스닥: ↑ 3119, ↓ 1373

다우 YTD: +5.8%
나스닥 YTD: +8.9%
S&P500 YTD: +8.1%
S&P 중소형 400 YTD: +3.1%
러셀2000 YTD: +2.4%

1. 무역 협상, 미국-유럽연합 및 일본과의 타결 임박
2. 기술주 초반 부진 후 장중 회복, 반도체지수는 보합 마감
3. 헬스케어·산업재 실적 호조
4. 무역 협상 기대에 10년물 국채 금리 반등

Go to Top